[시민일보=이대우 기자]검찰이 롯데그룹 경영 비리 조사를 위해 소진세 정책본부 대외협력단장(사장)(66)을 5일 소환해 조사중이다.
서울중앙지검 롯데수사팀은 이날 오전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배임 등의 혐의로 소 사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검찰은 지난달 15일 소 사장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지만 이후 수사 과정에서 혐의와 관련한 구체적인 정황이 나와 피의자로 재소환했다.
5일 오전 9시50분께 검찰청사에 도착한 소 사장은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61) 등 총수 일가의 비자금 조성 및 조세포탈, 특정 계열사 부당 지원 의혹 등에 “그런 사실 없다”고 부인했다.
소 사장은 고(故) 이인원 정책본부장(부회장), 황각규 정책본부 운영실장(사장)(62) 등과 함께 신동빈 회장의 최측근으로 꼽힌다.
검찰은 그가 그룹 계열사인 코리아세븐 대표이사(2010∼2014)로 재직할 때 롯데피에스넷 유상증자에 참여한 경위와 신 회장이 지시했거나 보고를 받았는지 여부 등을 조사하고 있다.
롯데그룹은 롯데피에스넷의 손실 보전을 위해 2010∼2015년 사이 4차례에 걸쳐 총 36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시행했는데 이 과정에서 계열사들을 과도하게 동원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검찰은 소 사장을 상대로 총수 일가 비자금 조성 및 탈세, 계열사간 부당 자산거래, 롯데가(家) 구성원이 소유한 개인회사에 대한 일감 몰아주기 등 그룹 경영비리 전반도 추궁할 방침이다.
검찰은 “소 사장과 함께 황각규 사장도 이번주 중 피의자 신분으로 재소환하기로 하고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고 밝혔다. 황 사장은 지난달 25일 검찰에 나와 이튿날 오전까지 24시간 밤샘 조사를 받았다.
한편 1977년 롯데쇼핑으로 입사한 소 사장은 롯데미도파 대표이사, 롯데쇼핑 슈퍼사업본부 및 코리아세븐 총괄사장을 거쳐 2014년 8월 정책본부 요직 가운데 하나인 대외협력단장을 맡았다.
그는 신 회장으로부터 부분 개장을 앞둔 제2롯데월드의 각종 안전사고, 롯데홈쇼핑 비리 문제 등으로 그룹이 어려움에 빠지자 그룹 이미지 개선, 홍보·대관 업무 강화 등의 중책을 적접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