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경기도 고양시는 서울의 배후 도시로서 서울시립묘지(고양 벽제동), 서울시립 승화원, 제1·2추모의집(고양 대자동), 서울 마포구 재활용 선별시설, 난지물재생센터, 서대문구 음식물 처리시설(고양 대덕동), 은평구 분뇨처리 차량 주차장(고양 도내동) 등을 떠안고 있다. 민 의원이 제출한 건의안은 많게는 40년 이상 고통을 받고 있는 고양시민과 일절 상의도 없이 은평구가 재활용 쓰레기 처리시설을 고양시계에 깊숙이 들어온 경계구역에 조성한 데 따른 철회의 내용을 담고 있다.
건의안에 대해 민 의원은 “은평구 재활용 쓰레기 처리시설 맞은편은 고양 삼송지구 2만3729가구와 고양 지축지구 8686가구가 오는 2018년까지 입주를 눈앞에 두고 있는 곳인데, 시 경계 지점에 은평구가 일방적으로 시설을 갖추겠다고 발표했다”며 “지금 이곳에 필요한 것은 고양시와 은평구가 함께 테크노벨리와 같은 공동의 일자리 창출과 공동의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상생방안이지 기피시설을 남의 집 대문 앞에 놓는 것으로 대립각을 세워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민 의원은 지난 10월부터 은평구청 앞에서 재활용 쓰레기 처리시설 철회를 요구하는 1인 시위를 주민들과 함께 꾸준히 병행하고 있으며, 은평구청장 및 은평구의원들과도 꾸준히 교감하며 부당함을 알리고 있는데, 추후에 어떤 결정이 내려질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