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 대가성 여부 수사력 집중
이재용 부회장 소환 임박한 듯
[시민일보=고수현 기자]박영수 특별검사팀이 '최순실 게이트'와 관련해 삼성그룹 미래전략실 수뇌부인 최지성 삼성 미래전략실장(부회장)과 장충기 미래전략실 차장(사장)을 상대로 15시간에 가까운 강도 높은 '밤샘' 조사를 벌였다.
특검팀이 미래전략실 고위 관계자를 공개 소환한 것은 지난해 12월 21일 공식 수사에 착수한 이후 처음이다.
전날 최 부회장과 장 사장은 지난 9일 오전 특검 사무실에 출석해 이날 오후 2시부터 10일 오전 5시까지 조사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최 부회장과 장 사장은 조사를 마치고 나와서도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지시 여부 등을 묻는 취재진 질문에는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았다.
특검 관계자는 "최 부회장과 장 사장은 현재까지 참고인 신분이다"면서도 "변동 가능성이 있다"라고 밝혔다.
다만 특검은 이들을 상대로 대질신문을 한 사실이 없다고 설명했다. 이는 특검팀이 이들의 진술 내용이나 태도 등을 볼 때 대질 필요성이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 특검이 수뇌부를 소환한 미래전략실은 이 부회장의 지시나 승인을 받아 '비선 실세' 최순실씨(61·구속기소) 측에 대한 금전 지원 실무를 총괄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에 특검은 최 부회장과 장 사장을 상대로 최씨에게 자금이 제공된 경위와 이재용 부회장이 이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캐물은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특검은 삼성이 최씨 측에 제공한 자금의 성격과 청탁, 대가성 여부를 가리는 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과정에서 국민연금이 찬성 의견을 밝힌 것과 관련해 특검은 청와대와 보건복지부가 개입했다는 단서와 진술을 상당 부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삼성은 최씨와 최씨의 딸 정유라씨, 최씨의 조카 장시호씨, 그리고 이들과 관련된 것으로 의심 받고 있는 회사와 재단 등을 지원한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은 이같은 삼성의 이례적 지원이 이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 문제가 걸린 삼성 합병을 국민연금이 지원해준 데 대한 보답 차원이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특검이 최 부회장, 장 사장 조사를 마무리함에 따라 일각에서는 이재용 부회장의 소환이 임박했다는 관측도 나온다. 특검은 이 부회장의 소환 시기를 조만간 결정할 방침이다.
다만 이재용 부회장은 앞서 지난해 12월6일 열린 청문회에서 이 같은 의혹을 부인한 바 있다.
이 부회장은 청문회에서 "저희한테 문화, 스포츠를 포함해서 사회 각 분야에서 많은 지원 요청이 있다"면서 "하지만 단 한번도 무엇을 바란다든지, 반대 급부를 요구하면서 출연했다든지 지원한 적은 없다"고 해명했다.
또 "홍완선 본부장을 비롯한 국민연금 관계자들과 만났지만 주로 미래산업과 주주친화정책에 대해 논의했다. 합병비율 얘기는 일부분에 불과했다"고 해명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