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대우 기자]24일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의혹'과 관련해 24일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78)과 조윤선 전 문체부 장관(51)을 재소환해 조사했다.
앞서 김 전 비서실장과 조 전 장관은 지난 21일 새벽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및 국회 청문회 위증 등 혐의로 구속됐다. 조 전 장관의 경우 이번이 세 번째 소환이고 김 전 실장은 두 번째 소환이다.
김 전 비서실장은 이날 취재진의 질문에 아무런 답변도 하지 않고 곧장 조사실로 향했다. 조 전 장관 역시 '혐의를 부인하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답하지 않고 곧바로 조사실로 향했다.
일각에서 구속 후 이들의 조사 태도에 변화가 있지 않겠냐는 관측도 나왔지만 현재 이들의 진술태도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 대변인 이규철 특검보는 이날 브리핑에서 "김 전 실장과 조 전 장관 모두 현재까지 특별히 유의미한 진술 태도 변화가 없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특검은 김 전 실장을 상대로 박근혜 대통령이 블랙리스트 작성·관리를 지시했거나 관여했는지, 실무진의 보고를 승인하거나 묵인·방조한 것은 아닌지 등을 조사하고 있다.
특검은 김 전 실장이 블랙리스트의 '총지휘자'이자 '설계자'라는 의심을 거두지 않고 있다.
조 전 장관은 2014∼2015년 청와대 정무수석으로 있을 당시 리스트 작성에 상당 부분 관여한 혐의를 받고 있다.
그러나 김 전 실장과 조 전 장관은 관련 의혹을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특검은 블랙리스트 작성과 관련해 이 과정에서 박 대통령이 관여했는지 여부에 초점을 맞춰 조사를 진행할 전망이다.
특검팀은 박 대통령이 직접 명단 작성·관리를 지시했거나 직접 지시하지는 않았더라도 최소한 이를 보고받고 승인하거나 묵인·방조했다는 의심을 거두지 않고 있다.
특검팀 대변인인 이규철 특검보는 이와 관련해 브리핑을 통해 "문화계 지원배제 명단과 관련해 대통령이 관여했는지 여부는 앞으로도 수사 기간 동안 계속 확인해야될 부분"이라고 말했다. 다만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는지 여부는 현 단계에서는 말할 사항이 없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특검팀은 이날 신동철 전 청와대 정무비서관(56·구속)도 소환했다. 신 전 비서관은 정무비서관으로 재임할 당시 블랙리스트 작성에 관여한 혐의를 받고 있다.
전날 참고인으로 특검에 출석한 유진룡 전 문체부 장관(61)은 취재진에게 "정권에 비판적인 문화·예술인을 배제할 목적의 블랙리스트는 실제 존재하며 김기춘씨가 이를 주도했다"고 밝혔다.
당시 유 전 장관은 "이번 김기춘씨의 구속을 계기로 우리나라가 다시 정의롭고 자유로운 사회로 다시 돌아갈 수 있는 그런 계기가 될 거라고 생각을 하고 있다"고 발언했다.
그는 "굉장히 혼란스러운 상황이 초래된 것에 대해서 어떻든 이 정부에서 책임을 지고 있었던 사람으로서 굉장히 죄송스럽게 생각하고 있다. 국민한테 이 기회에 다시 한 번 정말 면목이 없고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