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수사기간 연장 가능성 불투명에도 강수
[시민일보=여영준 기자]박영수 특별검사팀이 이영선 청와대 행정관(38)에게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 행정관은 박근혜 대통령의 비선진료에 깊숙이 관여하고 청와대에서 사용된 차명폰을 제공한 혐의를 받고 있다.
특검이 이 행정관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하자 여러가지 해석이 나온다. 특검 수사 기간 연장 가능성이 불투명한 가운데 수사 만료일을 불과 이틀 앞두고 구속영장이라는 강수를 뒀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이 행정관이 소환 요구에 여러 차례 불응하는 등 수사 과정에서 일관되게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인 것이 구속영장 청구로까지 이어졌다고 보고 있다.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은 27일 오후 3시 서울중앙지법 권순호 영장전담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다. 구속 여부는 당일 밤에 결정될 전망이다.
이 행정관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한 특검팀은 그에게 의료법 위반 방조, 위증, 전기통신사업자법 위반, 국회에서의 증언 및 감정에 관한 법률 위반(불출석) 등 혐의를 적용했다.
특검에 따르면 이 행정관은 정식 절차를 밟아 임명한 자문의가 아닌 성형외과 의사 김영재씨가 청와대에 들어가 박 대통령에게 성형 시술을 하는 과정에 개입한 혐의를 받는다.
또한 김 원장 외에 '주사 아줌마', '기치료 아줌마' 등 무자격 의료업자들을 청와대에 들여보내는 데 도움을 주는 등 관여한 의혹도 받고 있다.
앞서 이 행정관은 2013년 5월 전후로 정호성 전 대통령 부속비서관(48·구속기소)에게 '주사 아줌마 들어가십니다', '기(氣)치료 아줌마 들어가십니다'라는 문자를 여러 건 보낸 사실이 확인됐다. 또 최순실씨를 뜻하는 '최 선생님'이 들어간다는 문자를 정 전 비서관에게 보내기도 했다.
그러나 이 행정관은 헌재에서 열린 대통령 탄핵심판 증인신문에서 정 전 비서관에게 보안 손님 관련 문자를 보낸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최씨 등을 데리고 청와대에 출입한 적은 없다고 말해 위증 논란이 일었다.
이 행정관에게는 군대 후임이 운영하는 휴대전화 대리점에서 차명폰을 만들어 박 대통령을 비롯한 청와대 관계자들에게 제공한 혐의도 적용됐다. 앞서 특검팀은 해당 이동통신 대리점을 압수수색했다.
정 전 비서관과 이 행정관 등은 헌재 증인으로 출석해 박 대통령 또는 박 대통령 보좌진이 타인 명의 휴대전화를 사용했다고 진술했다.
이 행정관은 지난해 12월 국회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청문회에 무단 불출석한 혐의도 받는다. 그는 동행명령까지 내려졌으나 나오지 않았다.
한편 이 행정관은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 당일 청와대 관저에서 근무했다는 점에서 그날 박 대통령의 행적을 풀 핵심 인물로 지목되기도 했다.
[시민일보=여영준 기자]박영수 특별검사팀이 이영선 청와대 행정관(38)에게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 행정관은 박근혜 대통령의 비선진료에 깊숙이 관여하고 청와대에서 사용된 차명폰을 제공한 혐의를 받고 있다.
특검이 이 행정관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하자 여러가지 해석이 나온다. 특검 수사 기간 연장 가능성이 불투명한 가운데 수사 만료일을 불과 이틀 앞두고 구속영장이라는 강수를 뒀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이 행정관이 소환 요구에 여러 차례 불응하는 등 수사 과정에서 일관되게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인 것이 구속영장 청구로까지 이어졌다고 보고 있다.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은 27일 오후 3시 서울중앙지법 권순호 영장전담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다. 구속 여부는 당일 밤에 결정될 전망이다.
이 행정관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한 특검팀은 그에게 의료법 위반 방조, 위증, 전기통신사업자법 위반, 국회에서의 증언 및 감정에 관한 법률 위반(불출석) 등 혐의를 적용했다.
특검에 따르면 이 행정관은 정식 절차를 밟아 임명한 자문의가 아닌 성형외과 의사 김영재씨가 청와대에 들어가 박 대통령에게 성형 시술을 하는 과정에 개입한 혐의를 받는다.
또한 김 원장 외에 '주사 아줌마', '기치료 아줌마' 등 무자격 의료업자들을 청와대에 들여보내는 데 도움을 주는 등 관여한 의혹도 받고 있다.
앞서 이 행정관은 2013년 5월 전후로 정호성 전 대통령 부속비서관(48·구속기소)에게 '주사 아줌마 들어가십니다', '기(氣)치료 아줌마 들어가십니다'라는 문자를 여러 건 보낸 사실이 확인됐다. 또 최순실씨를 뜻하는 '최 선생님'이 들어간다는 문자를 정 전 비서관에게 보내기도 했다.
그러나 이 행정관은 헌재에서 열린 대통령 탄핵심판 증인신문에서 정 전 비서관에게 보안 손님 관련 문자를 보낸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최씨 등을 데리고 청와대에 출입한 적은 없다고 말해 위증 논란이 일었다.
이 행정관에게는 군대 후임이 운영하는 휴대전화 대리점에서 차명폰을 만들어 박 대통령을 비롯한 청와대 관계자들에게 제공한 혐의도 적용됐다. 앞서 특검팀은 해당 이동통신 대리점을 압수수색했다.
정 전 비서관과 이 행정관 등은 헌재 증인으로 출석해 박 대통령 또는 박 대통령 보좌진이 타인 명의 휴대전화를 사용했다고 진술했다.
이 행정관은 지난해 12월 국회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청문회에 무단 불출석한 혐의도 받는다. 그는 동행명령까지 내려졌으나 나오지 않았다.
한편 이 행정관은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 당일 청와대 관저에서 근무했다는 점에서 그날 박 대통령의 행적을 풀 핵심 인물로 지목되기도 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