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노점 특화거리 조성 필요"
[시민일보=이진원 기자] 서울 도봉구의회(의장 이근옥)는 최근 ‘서울특별시 도봉구 역주변 노점상 개선을 위한 특별위원회’가 활동을 종료하고, ‘제264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 결과보고서를 상정해 원안채택했다고 26일 밝혔다.
구의회에 따르면 노점특위는 깨끗한 도시환경과 구민의 보행권 확보를 위해 근본적인 노점 관리 정책을 마련하자는 취지에서 구성됐다.
노점특위는 2016년 6월23일 이영숙 위원장을 비롯한 이은림 부위원장, 강철웅·김미자·박진식·유기훈·이경숙 위원 등 7명으로 구성돼 활동을 시작했다.
세부적으로 노점특위는 7차에 걸친 회의에서 ▲역주변 노점상 현황 파악 ▲집행부 의견 수렴을 통해 정책대안을 제시한 바 있다.
이와 함께 다양한 현장을 방문해 노점실태를 점검하고, 바람직한 사례를 벤치마킹 했으며, 역주변 아파트 주민과 노점상 단속 현장 근무자 등과 4차례의 간담회를 통해 관계자의 의견도 수렴했다.
결과보고서의 주요 내용으로는 ▲노점 정책의 기본 원칙은 전부 철거하는 것이나, 현실적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자치단체장의 의지와 판단이 가장 중요함 ▲서울시 거리가게 정책은 시민불편형 노점, 기업형 노점에 대한 물리적인 정비기조는 유지하되 계속적인 국내외 경제침체로 인한 지역경제의 어려움을 감안해 지역상권 활성화와 소상공인의 자립 발판 마련 등을 위해 제도권 안에서의 맞춤형 특화거리 조성은 불가피함 등이 있다.
이와 함께 ▲동북 4구 창동·상계 신경제 사업의 초기 단계부터 관련부서 간 협업을 통해 거리가게 환경개선 사업을 병행해 추진할 것을 제안하는 내용을 첨부했다.
아울러 ▲노점관리 정책의 제도적 장치와 운영 조례(규정) 제정 요구와 협약서에 규정한 노점상연합회 실천 요구, 노점 밀집지역의 행정지도 강화 요청 등 집행부에 대한 건의사항도 포함시켰다.
![]() |
||
▲ 사진설명 : 최근 서울 도봉구의회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역주변 노점상 개선을 위한 특별위원회’ 관계자들이 활동을 종료한 후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사진제공=도봉구의회) |
[시민일보=이진원 기자] 서울 도봉구의회(의장 이근옥)는 최근 ‘서울특별시 도봉구 역주변 노점상 개선을 위한 특별위원회’가 활동을 종료하고, ‘제264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 결과보고서를 상정해 원안채택했다고 26일 밝혔다.
구의회에 따르면 노점특위는 깨끗한 도시환경과 구민의 보행권 확보를 위해 근본적인 노점 관리 정책을 마련하자는 취지에서 구성됐다.
노점특위는 2016년 6월23일 이영숙 위원장을 비롯한 이은림 부위원장, 강철웅·김미자·박진식·유기훈·이경숙 위원 등 7명으로 구성돼 활동을 시작했다.
세부적으로 노점특위는 7차에 걸친 회의에서 ▲역주변 노점상 현황 파악 ▲집행부 의견 수렴을 통해 정책대안을 제시한 바 있다.
이와 함께 다양한 현장을 방문해 노점실태를 점검하고, 바람직한 사례를 벤치마킹 했으며, 역주변 아파트 주민과 노점상 단속 현장 근무자 등과 4차례의 간담회를 통해 관계자의 의견도 수렴했다.
결과보고서의 주요 내용으로는 ▲노점 정책의 기본 원칙은 전부 철거하는 것이나, 현실적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자치단체장의 의지와 판단이 가장 중요함 ▲서울시 거리가게 정책은 시민불편형 노점, 기업형 노점에 대한 물리적인 정비기조는 유지하되 계속적인 국내외 경제침체로 인한 지역경제의 어려움을 감안해 지역상권 활성화와 소상공인의 자립 발판 마련 등을 위해 제도권 안에서의 맞춤형 특화거리 조성은 불가피함 등이 있다.
이와 함께 ▲동북 4구 창동·상계 신경제 사업의 초기 단계부터 관련부서 간 협업을 통해 거리가게 환경개선 사업을 병행해 추진할 것을 제안하는 내용을 첨부했다.
아울러 ▲노점관리 정책의 제도적 장치와 운영 조례(규정) 제정 요구와 협약서에 규정한 노점상연합회 실천 요구, 노점 밀집지역의 행정지도 강화 요청 등 집행부에 대한 건의사항도 포함시켰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