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의원은 “현재 계획대로라면, 부산시와 범정부통합유치기획단은 당장 내년 초에 BIE(국제박람회기구)에 유치의향서를 제출절차를 거쳐 2022년 초 공식 유치신청을 마무리하면 이듬해 2023년에 BIE 실사를 통해 2030엑스포 개최여부가 최종적으로 결정된다”라며, 개최신청까지 불과 2년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미55보급창 부지를 포함한 총 70만m²에 달하는 군사시설을 목전에 두고 5 천만 명의 세계인의 축제를 개최할 수는 없다”고 피력했다.
또한 김 의원은 “각국의 엑스포 유치경쟁이 매우 치열한 상황인 만큼 정부 차원의 지원이 매우 시급하다”며, 지난 7월 대통령 주재 한국판 뉴딜 (제7차비상경제회의)를 통해 확정 발표된 한국판뉴딜사업과의 포괄적인 연계추진방안 검토를 부산시에 제안했다.
김 의원은 “부산시가 도심지 건물 및 교통인프라 테스트베드로써 활용계획을 정부에 선제적으로 건의한다면, 시행사업 예산에 대한 부담도 줄일 수 있고, 정부정책과도 부합하는 효율적인 북항재개발로 성공시킬 수 있을 것”이라며 북항 통합재개발사업 전략변화를 촉구했다.
끝으로 김 의원은“북항 은 미래부산 1백년을 내다보는 부산의 대표성을 지닌 도시”라며, 원도심 대개조 사업 을 연계 추진하여 2030 엑스포 개최와 낙후된 원도심 재생에 활력을 불어넣어 줄 것을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과 경제부시장을 비롯한 市 경제관계 간부들에게 당부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