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조사위원회 무력화 시도 등 조사
前 해수부 차관도 소환 조사 [시민일보 = 황혜빈 기자] 검찰이 박근혜 정부의 세월호 참사 조사 방해 의혹과 관련해 22일 행정안전부와 기획재정부 등을 압수수색했다.
세월호 참사 특별수사단(단장 임관혁 서울고등법원 검사)은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내 행안부 인사기획관실과 경제조직과, 기재부 안전예산과, 인사혁신처 인사관리국 등지에 검사와 수사관들을 보내 2014년 이후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 활동과 관련한 내부 문건 등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해양수산부 등 정부부처 공무원들의 특조위 파견·임명과 예산 배정 등을 다룬 보고서·회의록·업무일지 등을 확보해 부처간 의사결정이 어떤 방식으로 이뤄졌고, 청와대가 얼마나 관여했는지 파악하고 있다.
검찰은 옛 여권 인사들이 특조위 활동 전반을 방해했다는 희생자 가족들 주장과 특조위 조사 결과를 토대로 박근혜 정부의 불법개입 의혹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
사회적참사 특별조사위원회는 이날 이 같은 의혹과 관련한 증거를 추가로 발견해 이병기(73) 전 대통령 비서실장과 정진철(65) 전 인사수석비서관 등 19명에 대한 검찰 수사를 요청하기로 했다.
이에 앞서 세월호참사 가족협의회는 조윤선(54) 전 청와대 정무수석과 김재원(56) 전 새누리당 원내대표, 조대환(64) 전 특조위 부위원장 등이 2015년 1월19일 플라자호텔에서 만나 특조위 조직과 예산을 줄이기로 했다며 검찰에 고발장을 낸 바 있다.
검찰은 참사 당일 세월호 항적이 조작됐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조사 중이다.
세월호 항적이 조작됐다는 의혹은 특조위 조사나 언론 보도 등을 통해 꾸준히 제기돼왔다.
박근혜 정부는 당시 세월호 사고 원인을 조사하며 항로가 기록된 선별자동식별장치(AIS) 데이터를 공식적으로 내놓은 적 있지만 이 자료의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지적이 많았다.
이에 검찰은 전날 해수부로부터 AIS 데이터를 임의제출받아 분석하고 있다.
한편, 검찰은 지난 16일 조 전 부위원장을 소환한 데 이어 전날에는 윤학배(59) 전 해수부 차관을 피고발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한 바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