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선거, 전반적으로 국민의힘 우세 전망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2-05-29 11:04:23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민주, 광주 전북 전남 제주 4개 지역 서 선전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6·1 지방선거를 사흘 앞둔 29일 현재 각종 여론조사에 나타난 수치로는 전반적으로 여권의 우세가 점쳐지는 가운데 야권 내에서는 '깜짝 반전'을 기대하는 목소리도 흘러나오고 있다.


여론조사 공표금지일(25일) 이전 공표된 여론조사 결과로 보면 광역단체장 선거의 경우 절반 이상 지역이 국민의힘 우세 지역으로 분류된다.


실제 KBS·MBC·SBS 지상파 방송 3사가 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입소스에 의뢰해 23∼25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만4천2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전국 17곳 광역단체장 선거 가운데 국민의힘이 9곳에서 오차범위 밖에서 앞서고 있었다.


반면 민주당이 오차범위 밖에서 앞서는 곳은 4곳에 그쳤고, 나머지 4곳은 오차범위 내 접전 양상이었다.


우선 국민의힘이 앞서는 지역은 서울,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충북, 충남, 강원 등이었다.


서울에선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가 53.6%, 민주당 송영길 후보가 31.2%를 기록했다.


대구는 국민의힘 홍준표 후보가 63.6%로, 민주당 서재헌 후보(11.7%)를 크게 앞섰다.


경남에선 국민의힘 박완수 후보(53.4%)가 민주당 양문석 후보(21.3%)를, 경북은 국민의힘 이철우 후보(61.2%)가 민주당 임미애 후보(14.7%)를, 부산에서는 국민의힘 박형준 후보(52.3%)가 민주당 변성완 후보(25.9%)를, 울산에선 국민의힘 김두겸 후보(43.4%)가 민주당 송철호 후보(27.1%)를 이기고 있었다.


그동안은 경합 지역으로 보였던 충남에서도 국민의힘 김태흠 후보 43.8%, 민주당 양승조 후보(34.7%)에 우세를 보였다.


충북에서는 국민의힘 김영환 후보가 43.4%로, 30.7%를 얻은 민주당 노영민 후보를 12.7%p 차이로 앞섰고, 강원에선 국민의힘 김진태 후보 44.9%, 민주당 이광재 후보 34.0%로 조사됐다.


반면 민주당은 광주, 전북, 전남, 제주 4곳에서 오차범위 밖 우위를 기록했다.


호남에서는 강기정 광주시장 후보가 국민의힘 주기환 후보를 56.1%대 9.2%로, 김관영 전북지사 후보가 조배숙 국민의힘 후보를 60.2%대 13.4%로, 김영록 전남지사 후보가 이정현 국민의힘 후보를 57.2%대 12.9%로 각각 앞섰다.


제주는 민주당 오영훈 후보가 42.3%, 국민의힘 허향진 후보가 31.6%로 조사됐다.


대표적인 경합지역인 경기를 비롯해 인천, 대전, 세종의 경우 여야 후보가 오차범위 안에서의 차이만 보였다.


경기도에선 민주당 김동연 후보가 39.1%를 기록, 국민의힘 김은혜 후보 37.7%를 근소하게 앞섰고 대전에선 민주당 허태정 후보와 국민의힘 이장우 후보가 각각 40.0%와 36.1%의 지지도를 보였다.


인천에선 국민의힘 유정복 후보 39.9%, 민주당 박남춘 후보 35.8%로 나타났고, 세종은 민주당 이춘희 후보 38.5%, 국민의힘 최민호 후보 40.4%로 각각 집계됐다.


민주당의 경우 우세 지역이 '텃밭' 호남에 제주 한 곳만 더해진 형국이어서 참패에 대한 우려가 깊어지는 상황이다.


그러면서도 민주당 내에서는 '깜짝 반전'을 기대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재명 총괄선대위원장 역시 최근 각종 유세에서 2010년 서울시장 선거 당시 한명숙 후보가 여론조사의 절대적 열세 예상과 달리 0.6%포인트 차이로 석패한 사례를 들며 "여론조사 결과가 (선거 결과와) 다를 것"이라면서 투표 독려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3.5%p,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한편 여권에서는 지금의 흐름이 이어져 지방선거에서 승리할 경우 윤석열 정부 집권 초 국정운영 동력을 확보하는 데 청신호가 켜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번지고 있다.


반면 민주당의 경우 선거 결과가 부진하면 '지방선거 이후'로 미뤄뒀던 대선 패배 평가에 지방선거 패배 평가가 동시에 이뤄지면서 책임론을 두고, 특히 8월 차기 지도부를 뽑는 전당대회 과정에서 계파별 치열한 권력투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당내 친문(친문재인) 진영과 친이재명 그룹, 86그룹 등이 각각 당권을 두고 생존을 건 사투를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선거 막판 박지현 공동비대위원장이 촉발시킨 '쇄신안'에 재점화될 경우 단순한 당권 다툼을 떠나 정계 개편으로까지 확대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