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전대룰 갈등 심화

여영준 기자 / yyj@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2-07-06 13:43:1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우상호, 친명계 반발에 "모두 발언하지 않겠다“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8.28 전당대회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 내에선 전대 룰을 둘러싼 갈등이 심화하는 양상이다.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은 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전 오늘 모두 발언하지 않겠다"며 마이크를 박홍근 원내대표에게 넘겼다.


이는 전당대회 룰을 둘러싼 당내 친명계(친이재명)의 집단반발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지난 4일 전당대회준비위원회는 예비경선에서 투표 비중을 ‘중앙위 100%’에서 ‘중앙위 70%·국민 여론조사 30%’로 변경하는 안을 제안했으나 비대위는 예비경선 룰을 기존 중앙위원회 투표 100%로 되돌려 의결했다. 아울러 1인 2표를 행사하는 최고위원 선거에서 1표는 무조건 자신이 속한 권역의 후보에게 투표하는 새로운 룰을 신설했다.


그러자 이재명계 의원들이 연판장까지 돌리겠다며 비대위 결정 번복을 요구했다.


정성호·전용기 등 친이재명계 의원 38명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비대위는 졸속 의결한 결정을 거두고, 모든 당원이 참여하는 '전당원 투표'를 요구한다"고 촉구했다.


대표적 친명계 김남국 의원은 "특정한 사람을 최고위원에 보내겠다는 목적이 있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 "(비상대책위원회가) 특정한 세력의 이익을 위한 룰을 만들었다"며 이렇게 말했다.


예비경선에서 여론조사가 빠진 것에 대해 김 의원은 "선거에서 패한 이유로 당심과 민심이 괴리된 측면이 있었기 때문에 국민 여론을 더 반영하는 룰을 만들어야 된다는 논의가 있었다"며 "그런데 비대위에서 이전에 전혀 논의되지 않는 계파의 이익을 위한 룰을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최고위원 권역별 투표제에 대해서도 "비례대표 의원이 최고위원에 출마하면 지역구가 없어 권역별 투표를 받지 못한다고 하고 해외에 머무는 권리당원과 권역에 속해있지 않은 정책대의원의 투표권도 어떻게 될지 모른다고 한다"며 "당에서 논의된 바 없고 알지도 못하는 전무후무한 기괴한 룰"이라고 비판했다.


김남국 의원은 "지금 이런 전대 룰이라면 이재명도 얼마든지 컷오프될 수 있다"라며 이재명 컷오프를 위한 전대룰이라는 음모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에 우상호 비대위원장은 "이런 식의 음모론적 시각이 문제"라며 "한 나라의 대선 후보까지 하신 분이 컷오프되는 게 말이 되나"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자신들에게 유리한 룰을 만들어달라고 하면 솔직하지 이 고문을 왜 끌고 들어가나"라고 말했다.


그는 예비경선에서 여론조사를 반영하지 않기로 한 것을 두고는 "당 대표 후보들의 경우 인지도가 높으니 문제가 없는데, 열 몇 명이 나서는 최고위원 선거에서 (여론조사가) 실무적으로 가능한지를 고민한 결과"라고 전했다.


'최고위원 권역별 득표제'에 대해서는 "지도부 구성 원칙에 다양성이 있는데, 최근 수년간 지도부를 보면 호남·영남·충청 등을 대표하는 최고위원이 없었다"며 "지역 여론을 반영하는 통로를 만들어보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