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비대위 체제 전환두고 엇갈린 반응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2-08-03 14:18:54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하태경, “이준석 복귀 염두엔 둔 비대위가 돼야”
김기현 “특정인 자리 위해 존재하는 정당 아냐”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국민의힘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데 대해 당내에서 엇갈린 견해로 충돌하는 모양새여서 주목된다.


실제 이준석 대표와 정치적 노선을 함께 해 온 하태경 의원이 3일 '비대위 체제 전환이 전당대회가 아닌, 5개월 뒤 이 대표 복귀를 염두에 둬야한다'고 주장하자 차기 당권주자로 거론되는 김기현 의원이 "특정인이 복귀하느냐 마느냐가 판단의 기준이 된다는 것은 난센스"라며 이를 받아쳤다.


이날 BBS라디오에 출연한 하 의원은 “당내 압도적인 다수파는 이 대표를 돌아오지 못하게 해야 한다는 입장”이라면서도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징계 기간이 끝난 뒤 돌아올 수 있도록 당헌·당규를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난 의원총회에서 사실상 이 대표가 대표로서 살아 있다는 것을 추인해 준 상황”이라며 “따라서 대표가 있는데 조기 전당대회로 새 대표를 뽑는다면 법적으로 충돌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조기 전당대회를 열었을 때) 이 대표가 무효 가처분 신청을 하면 법원에서 받아들여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권성동 직무대행이 '6개월 당원권 정지' 처분한 윤리위 징계로 당 대표 상황을 위’가 아닌 ‘사고’ 상황임을 공인했으므로 이 대표가 스스로 물러나지 않는 한 새 대표를 뽑을 수는 없다는 논리다.


특히 하 의원은 이 대표의 복귀를 분명히 하기 위해 당헌·당규도 개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는 “당에서 공식적으로 당헌·당규 개정안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안다”며 “비대위가 출범하더라도 이 대표가 돌아올 수 있는 개정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김기현 의원은 이날 CBS라디오에서 "어떤 사람의 자리를 만들어주기 위해서 저희 당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이 대표 복귀를 전제한 비대위 전환에 반대 의견을 제시했다.


김 의원은 "당이 비상상황인 만큼 공백 기간을 최소화시켜야 한다"며 "(비대위 체제 전환을 위한) 상임전국위원회나 전국위원회 진행 과정이 하루라도 빨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그는 '위장 사퇴'(김용태 최고위원), '꼼수'(홍준표 대구시장) 비판이 제기된 데 대해 "100% 모든 사람이 다 동의하는 결론을 내린다는 게 거의 불가능하지 않겠나"며 "그런 비판은 과도한 아전인수"라고 일축했다.


판사 출신인 김 의원은 이 대표 측근인 김용태 최고위원이 비대위 체제에 대한 효력정치 가처분 신청을 검토하고 있는 데 대해 "저희 당에 법률가들도 많이 있고 이 국민의힘 정당이 수십 년 전통을 이어오고 있는 정당이다. 법률적 문제는 없다고 판단한다"고 단언했다.


다만 김 의원은 '당헌·당규를 개정해 조기 전당대회를 열어야한다는'는 의견에 대해서는 "당헌·당규를 손을 댄다는 얘기가 나오는 순간 또다시 유불리의 문제가 생기기 시작한다"면서 "위인설관(특정한 사람을 위해 벼슬자리를 일부러 마련함) 식으로 위인설법(특정한 사람을 위해 법을 만듦)이 될 수가 있다"고 반대했다.


이에 대해 당 관계자는 "지금은 오로지 윤석열 정부를 성공시키고 우리 국민의힘이 국민 지지를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느냐에 총집중해야 할 시점"이라며 맞춰져야지 누구에게 불리하냐 유리하냐 이런 걸 가지고 또다시 논란에 들어가기 시작하면 국민들로부터 더 큰 비난을 받게 될 것"이라며 "있는 당헌·당규 그대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은 오로지 우리가 정상화에 윤석열 정부를 성공시키고 우리 국민의힘이 국민들의 지지를 받으려면 어떻게 되느냐. 거기에 포커스(초점)가 맞춰져야지 누구에게 불리하냐 유리하냐 이런 걸 가지고 또다시 논란에 들어가기 시작하면 국민들로부터 더 큰 비난을 받게 될 것"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