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를 위해 인수위는 7일 현정부에서 미룰 수 없는 인사에 대한 현황파악에 나섰다.
인수위 핵심관계자는 “투명하고 공정한 인사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노무현 당선자가 제시한 새로운 인사시스템을 새정부 출범 때부터 각 분야에 적용할 방침”이라면서 “이를 위해 현정부에 미룰 수 없는 경우가 아닌 인사는 자제해 줄 것을 공식 또는 비공식으로 요청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현정부가 미룰 수 없는 인사에 대한 현황 파악에 나선 결과 방송위원회 강대인 위원장과 위원 8명 등이 내달 11일 임기가 종료되는 것으로 1차 파악됐으며 다른 분야에 대해서도 알아보고 있다”고 말했다.
인수위는 인사가 불가피한 경우에 대해서도 사전에 인수위와 협의해 줄 것을 바란다는 의향을 현정부측에 비공식적으로 전달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인수위는 인사가 지연될 경우 정부활동이나 국민생활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는 실무 및 하위직급 인사에 대해서는 관여하지 않기로 했다.
이와 관련, 지난 2일 인수위 간사단회의에서 노 당선자는 1월 중 실시되는 총경급 이하 경찰 승진인사에 대해 인수위는 일체 개입하지 않도록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98년에는 당시 15대 인수위측의 인사자제 요청으로 경찰 총경 인사가 3월 이후로 평상시보다 두달이상 미뤄져 `치안공백’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서정익기자 ik11@siminnews.net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