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들은 정권핵심실세들이 모인 대통령직 인수위 파견근무는 곧 새정권에서의 출세가 보장된다고 말하고 있다. 실제로 김영삼 정부와 김대중 정부에서도 인수위 파견근무자들이 부처로 복귀, 기획관리실장 등 요직을 독점해온 관례가 있다.
인수위 파견 공무원들은 정권인수업무와 관련, 인수위의 정책입안을 자문하면서 인수위와 해당부처간 연락업무 등을 맡게 된다.
정부는 지난 연말 인수위의 요청에 따라 각 부처와 군, 검·경찰에서 모두 55명의 국·과장급 또는 장성급, 차·부장 검사급 간부들을 전문위원 또는 행정관으로 파견키로 하고 부처별로 업무 특성에 따라 2~4명씩 대상 인원을 배정, 3배수로 추천토록 했다.
이에 따라 각 부처는 지난 3·4일 우여곡절 끝에 3배수의 대상자를 인수위에 추천했다.
상당수 부처에서는 이사관인 2급 국장들이 서로 인수위행 추천 티켓을 따내기 위해 장·차관은 물론 민주당과 노무현 당선자 주변 인사들을 상대로 치열한 로비전을 벌여 곳곳에서 잡음이 빚어진 끝에 1단계 추천작업이 마무리됐다.
인수위의 한 관계자는 “대한민국 고위 공무원들이 이렇게 몰염치할 정도로 로비력이 뛰어난 줄은 몰랐다”며 “자신의 영달을 위해 체면 불구하고 모든 연줄을 동원해 총력 대시하는 이들을 통해 개혁을 제대로 추진할 수 있겠느냐는 생각도 든다”고 개탄했다.
한편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8일 35개 부처에서 파견되는 공무원 57명의 인선을 확정,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파견 공무원은 2~3급 전문위원 36명, 4~5급 행정관 21명으로, 여성공무원 5명이 포함됐다.
인수위는 이로써 실무지원인력 인선을 마무리짓고 정상 가동에 들어가게 됐다.
정순균 대변인은 “파견 공무원은 각 부처로부터 3배수 추천을 받아 인수위원의 추천, 중앙인사위·청와대 등 관련기관 인사자료, 외부용역기관의 평가, 해당기관 내부인사자료 등을 활용해 결정했다”면서 “57명 중 대부분 1차 추천자가 선임됐으며 8명만 추가추천을 받았다”고 말했다.
/서정익기자 ik11@siminnews.net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