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정부 각 부처에 따르면 새 정부 출범 이후 많게는 국장급 이상 고위직의 20% 이상이 보직을 받지 못할 전망이다.
재정경제부는 현재 청와대비서실에 파견 근무 중인 과장급 이상 16명 가운데 10명 가량이 복귀할 것으로 보고 대책 마련에 나섰다.
현재 청와대 비서실에 파견 근무 중인 오갑원(경제수석실), 김병기(정책기획수석실) 등 1급 비서관 2명의 복귀가 확정됐고, 행정관을 맡고 있는 국장ㆍ과장급 14명 중 상당수도 청와대를 떠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에 파견된 김영룡 전문위원(1급)도 당 기구 축소 방침에 따라 새정부가 출범하면 재경부로 복귀하게 된다.
DJ정부에서 만들어진 제2건국위원회도 한시 기구인 만큼 문을 닫을 가능성이 커 파견 근무 중인 국장과 사무관이 복귀할 수밖에 없다.
현재 재경부 본부의 1급은 모두 6명이어서, 9명 중 3분의 1이 보직을 받기 어려울 전망이다.
재경부 관계자는 “1급의 경우 일단 본부대기나 특별보좌관 등으로 발령을 낸다는 방침이지만, 무작정 대기 상태로 놔두기도힘들어 고민”이라며 “국장과 과장급은 업무가 바쁜 부서에 배치, 지원업무를 담당토록 비상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
산업자원부도 국장급 4명과 과장급 1명이 청와대 비서실에 파견돼 있다.
산자부 관계자는 “대통령직 인수위에 파견된 국장급까지 포함할 경우최소 3명 정도는 보직을 받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밝혔다.
재경부 관계자는 “청와대 비서진 인선 발표 이후 1ㆍ2급 고위 간부들이 승진은 커녕 인사경색으로 자리를 내놓게 됐다며 전전긍긍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사태가 심각해지자 노무현 대통령당선자측은 곧 발표할 대통령비서실의 정책실 인사에 관련 부처 공무원을 다수 배치하기로 결정했다.
노 당선자측은 지난 19일‘인수위 브리핑’자료를 통해 “각 부처와 밀접한 업무 연관성을 갖고 정책을 조정 협의하기 위해 신설된 대통령비서실의 정책실에는 3개 비서관실과 국정과제를 수행할 10명의 비서관을 둘 수 있다”며 “이들 자리는 업무 특성상 전문관료가 필요한 곳인 만큼 공무원을 적극 기용할 것이다”고 밝혔다.
노 당선자측은 또 “현재 90명선인 청와대 파견 공무원은 80여명선으로 소폭 조정되는 대신 정책분야에 집중 배치할 것이다”며 “내정 발표한 정무직비서관 인선에서 공무원이 배제된 것은 비서실 직제 개편에 따라 각 부처를 직접 관할하던 수석비서관실이 대부분 폐지된 데 따른 것이다”고 설명했다.
/서정익기자 ik11@siminnews.net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