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중앙인사위원회(위원장 조창현)에 따르면 참여정부 출범 이후 다면평가를 활용하는 중앙행정기관은 54개중 88.9%인 48개 기관에 달했다.
다면평가는 과거에 주로 4급 이하 승진과 성과상여금 지급에 활용됐으나 새정부 들어 성과상여금 지급(39개 기관)은 물론 1급 승진(23개 기관), 2∼3급 승진(19개기관)에 도입하거나 보직관리(14개 기관)에 활용하는 기관이 크게 늘었다.
그러나 중앙인사위가 지난달 말 31개 중앙행정기관의 공무원 9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인사운영 전반에 다면평가를 활용해야 한다’고 답한 공무원은 18.8%에 그쳤고 79.2%가 `부분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부분활용 응답자는 ‘승진’(26.4%), `전보’(19.5%), `성과상여금 지급’(18.0%), `정기인사평정’(16.1%), `포상·모범공무원 선발’(13.2%) 등을 다면평가 활용에 적합한 분야로 꼽았다.
다면평가가 평가의 공정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느냐는 질문에는 69.2%가 `긍정적’이라고 밝혔고 21.4%가 `보통’, 9.4%가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1급 등 고위직 인사에도 다면평가를 활용하는데 대해서는 63.1%가 바람직하다고 응답했다.
중앙인사위는 ▲실적과 능력에 대한 표준적인 설문지 제공 ▲외부 인사전문컨설팅기관 등의 활용 ▲정기적 실시와 개인별 결과 통보 등 다면평가 정착을 위한 업무지침을 각 행정기관에 시달했다.
최은택 기자 volk1917@siminnews.net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