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할 수 있는 데도 일자리가 없어 이리저리 방황하는 것도 비극이지만 청년실업문제는 이 나라의 사회적으로 큰 재앙이 돼 버리는 듯 싶다.
이제 더이상 방치할 수 없는 분명 한국사회의 절박한 사안으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보고만 있을 것이 아니라 청년일자리 창출에 행정력을 집중시켜 청년들이 어딜 가던지 신바람나는 직장에서 마음놓고 일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노무현 대통령의 지난 연두 기자회견에서 밝혔듯이 일자리야말로 청년실업은 물론 모든 실업자들의 가장 바라던 반가운 행운으로 가장 효과적인 소득분배란 대목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실업실태가 그 얼마나 심각한가는 지난해는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한해동안 일자리 3만개가 줄고 실업자는 6만9000명이 증가한 것으로 알 수 있다.
특히 청년들의 경우 일자리가 1년간 19만2000개나 줄었고, 실업자는 4만2000명이 증가해 고용상황이 가장 열악했던 통계가 입증해 준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경인노동청장은 올해 일자리 만들기를 최우선 정책과제로 정하고 청년실업 등 고용문제 해결에 행정력을 집결, 힘든 사회 서비스부분의 일자리를 만들어 지속적인 고용창출을 이뤄내겠다고 밝힌 바 있다.
경인노동청은 일자리 창출 사업을 통해 비영리 단체의 인건비와 사회보험료를 지원하고 일자리 만들기 제일과제로 청소년 직장체험프로그램을 활성화해 우량 구인업체 발굴 지원사업도 추진된다.
노무현 대통령의 연두 기자회견에서 밝힌 바와 같이 일자리 마련에 성과를 올리지 못하면 말로만 일자리 창출이지 결국 고용창출에 실패한 정권으로 전략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며 우리 국민은 정부를 믿지 못할 것이다.
우리정부와 정치인들은 먼저 기업들이 투자를 꺼리지 않고 투자 할 수 있도록 보장함으로 정부를 믿고 투자 할 것이며 이토록 경제 상황이 계속 불투명한가을 진단이 필요하다.
노사간 대립도 큰 영향을 받고 있으며 정부가 나서 대화분위기를 조성하고 이를 통해 일자리협약을 이끌어야 하며 실업자 없는 세상을 만든다니 어디 지켜볼 일이다.
정부는 막연히 국제경기 불황 탓으로만 돌릴 것이 아니라 경기 불황이 수구려 들지 않고 있는 이유와 왜 실업사태가 절박해져 가는지 그 원인분석을 충분히 점쳐 실업사태를 열어가는데 정부는 파악하는 일부터 서둘러 실업사태를 해방시켜야 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