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권자의 심판에 달렸다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4-04-11 18:10:2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박 근 출 수도권부 국장대우(이천·여주·양평 주재) {ILINK:1} 총선이 이제 3일밖에 남지 않았다.

유권자들은 앞으로 4년 동안 좀더 나은 삶을 누릴 수 있게 해줄 덕망 있는 후보와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인물을 가려 똑바로 보고 잘 찍어야 한다.

하지만 비교적 깨끗하고 차분하게 선거운동이 치러지고 있는 것과는 달리 유권자들은 탄핵분위기에 얽매인 채 선거를 치를 전망이라는 여론이다.

또 합동연설회가 없어지는 등 유권자들이 지역 후보자가 누구인지 조차도 몰라 어떤 후보에게 한 표를 던져야 할지 난감해 하고 있다.

현재 개정 선거법에는 지역방송사를 이용한 토론회가 있지만 후보들이 이를 기피하고 있기 때문에 유권자들이 후보를 가려내는데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총선은 민주주의의 축제인데 대통령 탄핵으로 인한 이분법적 사고가 총선 정국을 지배하는 바람에 유권자들은 선거분위기를 느끼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정부의 국정운영에 대한 평가와 후보들간의 인물경쟁이란 총선본래의 취지보다는 탄핵찬성과 반대, 친노와 반노, 보수와 진보 등의 대결장으로 나눠져 한치의 양보도 없는 이분법적 총선으로 진행되고 있다.

17대 총선에서는 지역 후보들의 정보공개 자료를 꼼꼼하게 살펴 납세와 국방 등 국민의 의무를 다하지 못한 사람은 가려내야 한다.

후보들의 선관위 신고 내용만 보면 재산을 의도적으로 축소 신고한 것으로 의심되는 후보가 있는가 하면 소득세 납부액이 연평균 10만원에도 미치지 못하는 후보자가 상당수에 이른다.

국방 의무를 하지 못한 후보가 20%에 이르고 간통과 사기 절도 등 공갈 파렴치 범죄 전과자들도 포함돼 유권자들은 심각성을 가지고 후보자를 평가해야 한다.

여야 각 당이 정치 경제 사회 각 분야에 걸쳐 경쟁적으로 많은 총선 공약을 제시하고 있는 가운데 표만 의식한 현실성 없는 선심공약이라는 비판이 높아지고 있다.

이런 선심공약들을 경쟁적으로 내놓는 것은 구태의연하다는 느낌마저 갖게 하고 유권자들이 과연 실현될 수 있을 지에 대해 의문을 갖는 것은 당연하다.

유권자들은 17대 총선에서 이런 허황된 선심공약에 넘어가지 말고 부정적인 후보를 가려내 낡고 병든 정치 후보자의 신뢰성 정책 등을 바로 알고 골라내야 한다.

17대 국회는 법치주의에 의한 깨끗한 정치로 감성이 아닌 정책에 호소하는 정당정치, 국민이 참여하고 국민의 의사가 반영되는 정치로 변해야 하며 진정으로 국민의 마음을 헤아려 줄 수 있고 지역을 위해 피와 땀을 흘릴 참 일꾼이 선택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