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시장이 위원장으로 있는 시정조정위원회의 통보에 의해 이번 축제는 결정돼 진행되고 있다. 시정조정위원회는 남양주시의 법이다”
시에 대한 이번 준비위원회의 신뢰(?)가 어느 정도인지 가늠케 하는 대목이다.
경기도 남양주시의 3년에 걸친 ‘세계야외공연축제’가 민간인 주도에서 관 주도로 바뀌고 명칭도 ‘강변야외공연축제’로 바뀌면서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는 이유에 대한 본질을 보는 듯한 느낌이다. 이번 준비위원회의 이런 모습은 여러 곳에서 비쳐지고 있다.
올해의 축제는 파행으로 두개의 행사로 나눠져 치러질 가능성도 있다. 이는 이전 집행위원회가 ‘강변공연축제’라는 명칭에 대해 유사명칭 등 행사정지가처분 신청을 했기 때문이다. 이런 와중에 남양주시의 행태는 의혹의 눈길을 받고 있다.
오비이락(烏飛梨落),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고 했던가.
시는 ‘북한강 문화마을 용역보고회’를 개최하면서 제대로 익지 않은 장밋빛 사업을 올 준비위원회가 주민을 회유하기라도 하듯 발표하는 일방적인 주민설명회로 비쳐졌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북한강 문화마을 용역은 지난해 9월에 발주, 올 7월에 최종보고회를 가지기로 한 것으로 강변축제 준비위원회측의 주민설명회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왜 시점이 지금이며 강변공연축제에 대한 주민설명회를 굳이 ‘북한강 문화마을 용역보고회’에 끼어넣기식으로 진행을 했는가 하는 점이다. 준비위원측의 일방적인 주민설명회는 시 관계부서 공무원이 시의 공식적인 입장을 설명하는 듯 했다. 늘 시의 방침이라는 전제를 깔았다.
지금의 행사에 대한 준비상황이나 각종 내용을 보면 이번 행사가 과연 제대로 치러질지 축제에 대한 걱정의 소리가 높고 축제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반목도 깊다.
야외공연축제는 사사로운 감정이나 이익을 위한 행사가 아니다.
일부인들의 축제의 행사로 치부돼도 안될 것이며 축제가 양분화돼 나눠먹기식으로 진행돼도 안될 것이다.
야외공연축제와 관련 각종 시끄러운 잡음의 소리는 어떻게 됐든 자치단체장인 남양주시장과 부시장의 결정에 따른 결과물인 것이다. 보다 나은 성숙된 야외공연축제를 위해 내가 아닌 ‘야외공연축제를 찾아올, 찾았던 저들을 위해’ 신중한 잣대가 필요했다는 지적이다.
남양주시의 법(?)이라는 시정조정위원회. 축제에 대한 잡음의 소리는 왜 위원회의 법으로 잠재울 수 없는지 묻고 싶다. 시의 한 고위관계자는 예산이 작다면 이런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한다. 6억원이라는 남양주시의 축제예산. 축제가 아니라 행사의 공방이 ‘돈의 논리’로 쏠리고 있는 것은 아닌지...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