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정기감사에서 주차요금을 가로챈 것이 드러나면서 61명이 해임 및 감봉 등 중징계요구를 받아왔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강성노조로 악명을 떨치던 성남시설관리공단노동조합(위원장 김호균)은 회원들의 비리가 해임 및 감봉 등 중징계로 이어지면서 해산 위기를 맞는 초유의 사태를 맞고 있다.
이에 따른 저항도 당분간 만만치 안을 것으로 보인다.
중간 관리자인 계장요원들이 소수 61명에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성남시나 시설관리공단 집행부의 입장은 단호하다.
성남시는 어떠한 일이 있어도 비리는 용납 할 수 없기 때문에 중징계를 요구했고 공단 집행부도 이에 따른 조치를 했다는 설명이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 외에도 소명자료를 제출하지 않은 일부 직원과 추가로 경찰의 조사를 받고 있는 4∼5명이 중징계 대상에 포함될 경우 파장은 더욱 클 수 밖에 없는 일이다.
지난 1일 시설관리공단(이사장 이수환)은 자신들이 관리하던 철골 주차장 7개곳을 성남시에 자진 반납해 세간을 놀라게 한 바 있다.
그것도 목 좋은 곳에 위치한 수진 1주차장 120면, 은행 1주차장 269면 등 모두 1089면을 자진반납 했기 때문이다.
이유인즉 금전에 손대는 사람들 하고는 일을 할 수 없다는 말이다.
그러나 시설관리공단은 성남시가 위임한 모든 시설물을 관리하고 100만 시민의 불편을 해소하는 서비스에 만전을 기한다는 목적을 위배되고 있다는 사실도 인식해야 할 것이다.
관리하는 주차장이 없으면 문제발생 요지도 없고 시끄러운 노조도 필요 없다는 생각은 아주 위험한 발상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자신들이 직원 관리를 잘못했기 때문에 벌어진 일을 주차장 몇 면 반납하는 것으로 치유방법을 모색한다면 끝내는 모두 반납하고 시설관리공단의 문을 닫아야 한다는 말로 해석 할 수 밖에 없는 일이다.
따라서 성남시설관리공단은 시민들의 눈총을 피하기 위해 주차장 반납을 궁여지책의 안으로 모색했다면 마땅히 철회해야 할 것이고 비리에 관계돼 조사를 받고 있는 직원들도 사안에 따라 중징계요구를 한 다음 깨끗한 시설관리공단으로 다시 태어나야 할 것으로 본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