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성명서에 따르면 당초 광명역을 출발역으로 계획했으나 서울역과 용산역으로 변경해 420억원의 막대한 손실을 보고 있다며 정부차원에서 전철연계 교통망과 활성화 대책 준비 중에 축소 또는 폐지하는 졸속적인 발언에 강력하게 항의한다고 밝혔다.
또 고속철 영등포역 정차를 수용할 수도 있다고 한 것은 서울역에서 출발해 영등포역에 정차하는 것은 당초 서울의 교통난 해소를 위한 취지를 역행하는 이해하기 어려운 처사로 더 이상 정책오류를 범하지 말라고 주장했다.
특히 지난 13일 건설교통부 홍순만 철도기획관은 “고속철도역사를 폐지하거나 축소할 수 있는 것은 건교부 소관이다”며 “광명역 하루 이용자객이 초기 4000명이던 것이 현재 1만1000명으로 증가 광명역을 영등포로 옮기거나 축소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정부는 또 광명역 활성화를 위해 지난 6월부터 지하철 1호선 관악역~광명역까지 셔틀버스를 운행하고, 지하철 1호선 연계 교통망을 139억원을 투자 조기 착공할 계획이다.
그럼에도 광명역의 축소 또는 폐지 운운하는 것은 이 철 사장의 사견으로 밖에 볼 수 없는 문제로 광명시의회를 비롯한 광명시민은 국가시책을 무시하고 지방자치단체에 책임을 전가하는 한국철도공사에 강력한 활동을 전개할 것을 천명한다고 밝혔다.
/류만옥 기자 ymo@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