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이봉화 재무국장(53·여·사진)이 최근 일본유수의 대학인 동지사대학에서 ‘노인 장기요양 보호제도에 관한 한국형 모델의 개발연구’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고 25일 밝혔다.
이에 앞서 이 국장은 지난 2001년 서울시립대학교에서 한국과 일본 두 나라의 여성정책을 비교하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바 있다.
충주여고를 수석으로 졸업했지만 가난 때문에 대학 진학을 포기한 이 국장은 지난 1973년 서울시청에 입사한 이후 주경야독의 노력 끝에 1983년 한국외대 일본어과 졸업, 1991년 서울시립대 도시행정대학원 졸업, 2001년 서울시립대 행정학 박사학위 취득 등 노력의 노력을 거듭해 왔다.
특히 지난 1999년에는 서울시 여성공무원 중 처음으로 해외유학 길에 올라 일본 동지사대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을 3년만에 수료했고, 이번에 논문 작성을 마쳐 드디어 박사학위를 받게 됐다.
그동안 이 국장은 32년의 서울시 재직 중 ‘여성최초’라는 수식어를 늘 달고 다녔다.
여성최초 인사과장, 복지건강국장, 전산정보관리소장 등 오랫동안 여성들에게 벽을 쌓았던 요직들은 그 문을 열었고, 특히 복지건강국장 재임 중에는 전국최초로 ‘실버취업박랍회’를 개최, ‘건강도시’의 개념을 도입해 복지정책의 수준을 한 단계 높였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노인·여성·복지 관련 분야에서 오랜 행정경험을 갖춘 이 국장은 이번 논문에서 노인복지에 관한 신 모델을 제시했다.
이 국장이 제시한 신 모델은 그 기본을 사회보험방식으로 하고 관리운영을 지방자치단체로 하면서 민간보험을 결부시켜 보완한 것으로 지역성과 민간참여 촉진의 방향성을 가지면서, 인구고령화에 의해 부실해 질 수밖에 없는 사회보험 재정의 고갈을 보완하고 지역자원을 활용한 지역단위의 운영으로 그 지역의 인구구조, 산업구조, 재정구조 등을 고려한 운영이 가능한 방안이다.
특히 사회보험과 민간보험 영역을 병행함으로써 보건, 재활 등 다양한 복지니드에 부응하고 있고,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노인인구(2019년 65만명 추정)와 노인의료비 급증에 따른 새로운 대안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 국장은 “새로운 정책은 무조건적인 시혜적 복지정책이 아닌, 복지수용자 중심의 현실성을 갖추어야 하며, 무엇보다도 지속가능하고 차세대에 부담이 적은 한국형 모델이 제시돼야 한다”고 이번 논문을 통해 밝혔다.
/김봉종 기자 kbj@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