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킨텍스 스포츠몰 입찰 뇌물수수사건으로 고양시장의 전 비서실장과 전 시의원이 구속된 것에 이어 이번에는 탄현동 대형 주상복합아파트 로비사건이 불거진 것이다. 의정부지검 고양지청은 해당부지의 용지매입과 용도변경, 고도제한완화 등 사업추진과정에서 시행사가 고양시청과 고양시의회를 통해 로비를 했을 가능성을 두고 수사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는 이미 예견된 일이었다.
고양시의회는 지난 2005년 11월 시민들의 의견은 고사하고 관련부서와 단 한번의 협의도 거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전문가의 자문도 없이 도시계획조례 개정안을 상정해 통과시킨 후 시 집행부의 재의요구로 부결되었지만 올해 4월7일 다시 도시계획조례 일부개정안을 가결시킨 바 있다.
당시 지역 언론들은 탄현동 일대에 59층, 7개동에 총 2800가구가 건축예정이라는 보도와 함께 고밀도개발에 대한 ‘특혜논란’을 지적하면서 개정된 도시계획조례가 난개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발이 진행되었던 배경을 두고 시민단체와 시민들은 고양시의 지나친 개발의욕과 시의원의 재선을 염두에 둔 자기 지역구 챙기기가 한몫을 거들었다며 거세게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지난 6일 고양시의회 도시건설위원회는 2007년도 예산안 예비심사에서 고봉산보전을 위한 ‘일산2지구 공공시설요지매입비’ 16억원을 전액 삭감해 또다시 시민단체와 시민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시민들과 시민단체가 배신감과 함께 분노를 느끼고 있는 것은 지난 4대 의회에서 고봉산습지보전촉구결의안까지 채택했던 고양시의회가 돌연 고봉산보전을 위한 예산을 전액 삭감함으로써 그 동안 쌓아올린 노력을 한 순간에 무너뜨렸다는 것이다.
그동안 고양시는 중복투자라는 지적에도 불구하고 도로건설과 대형건물들을 짓느라 매년 수천억원의 예산을 쏟아부어왔다.
그 결과로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발전하는 10대도시로 선정되었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최근 벌어지고 있는 고양시의 모습을 보노라면 속 빈 강정을 떠올리게 된다.
진정한 개발과 진정한 보전이 무엇인가를 다시금 곰곰이 생각해 볼 때인 것 같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