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지자체들도 지역내 경제 활성화를 위한 재래시장의 현대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날씨에 따라 좌우되는 재래시장 이용의 불편을 없애기 위한 아케이드 설치나 간판 및 좌판의 정비, 통행로 정비 등의 환경개선 사업이 바로 그것이다.
또한 강서구와 같이 공동상품권을 발행하는 등의 활성화 노력도 시행되고 있으며 도봉구 역시 지역내 방학동 도깨비시장과 신창시장도 현대화 사업을 완료했으며 강북구 수유시장 등도 이미 지난 2004년 시설현대화를 완료한 상태다.
문제는 이러한 노력이 시설 현대화에만 집중돼 있다는 것이다. 상품권을 통한 자구 노력도 있지만 이런 상품권 역시도 사용되는 업소가 제한돼 있다는 문제가 있다.
현대화된 시장 주변에는 지금도 물량과 가격을 앞세운 대형 유통기업이 점포를 확장하고 있다. 모 대형 유통점은 주변 점포보다 자기 점포에서 파는 물건이 저렴하지 않은 것을 신고하면 보상을 한다는 최저가격보상제를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젊은 주부들은 직접 장을 보는 수고 보다는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한다. 가격비교도 훨씬 쉽고 시간도 절약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설 현대화만이 재래시장 활성화의 해법은 아닐 것이다. 외관상 현대화 작업이 중요하지 않다는 말은 아니다. 이와 함께 추진돼야 하는 것은 본질적인 재래시장의 유통 구조인 것이다.
재래시장도 경쟁력이 있어야 한다. 서민을 상대로 한 장사일 수록 가격경쟁력이 중요하다.
유독 연말연시가 되면서 또 대선정국이 시작되면서 단골 공약으로 제시되는 것 중 하나가 서민경제 활성화를 위한 재래시장 지원 대책이다.
이제까지의 재래시장 활성화 대책이 외형적인 면에 치중했다면 앞으로 유통망 개선을 통해 대형 유통기업에 맞설 경쟁력을 기를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지 않을까?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