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노인일자리사업이 필요하다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7-02-05 19:45:2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황정호(정치행정부) {ILINK:1} ‘인생은 육십부터...’라는 말이 어느새 당연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요즘이다. 출산률이 감소하고 노인인구가 증가하면서 여기저기서 인구 고령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정부는 고령사회 대책사업으로 노인요양시설 확충, 평생건강증진을 위한 생활체육 활성화, 노인일자리 창출, 농어촌 노인복지 및 사회참여 등에 1조5856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각 지자체들 역시 경쟁하듯 노인일자리 사업, 장수수당지급, 저소득층 노인들에 대한 생활지원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다.

강서구는 지난해 360여개의 일자리를 마련, 일자리 사업에 참여한 노인들로 구성된 ‘실버수호천사단’을 운영 눈길을 끌기도 했다.

도봉구는 지난해 전국노인일자리사업 종합평가에서 최우수자치구로 선정된 바 있으며 올해에도 총 530명의 노인에게 일자리를 제공한다. 또 노원구는 올해 공익형, 교육복지형, 자립지원형에 대한 노인일자리 사업을 계획, 11억5800만원을 투자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고령화 사회를 대비, 노인들의 복지와 일자리에 대해 각 구가 다양한 대책을 내놓고 있는 것은 칭찬 할 만 한 일이다.

하지만 문제는 이들 대책이 공공근로식의 단발성 사업 계획에 그치고 있어, 정년퇴임 후 몇 십년 이상의 삶이 남아있는 노인들이 여유로운 삶의 질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발표에 따르면, 올해 2인 가구 기준 최저생계비는 73만4412원이다. 자식들이 독립하고 노인부부가 최저한으로 생활하는데 드는 돈이 이정도인 것이다.

그러나 현재 모 구의 예를 보면, 노인일자리사업은 몇 개월 예정으로 단기간 이뤄질 뿐 아니라 한 달에 지급되는 급여는 20만원정도로 최저생계비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노인들에게 지속적이고 일정 소득이 보장될 수 있는 일자리 창출 노력이 아쉽다. 어렵게 생활하는 노인들에 대한 생계비 지원, 사랑의 쌀 전달 등의 복지사업도 필요하지만 근본적으로 노인들이 건강하게 보통의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소득의 기반을 마련하는 각 지자체의 대책이 필요하다.

고령화 사회는 인구의 14%가 65세 이상인 사회를 말한다.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가까운 미래에 인구의 14%가 단발성 저소득 근로에 종사할 수는 없는 노릇이니 근본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