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기초 단체장 후보들은 지역 주민들의 표심을 공약하기 위해 저마다 중소기업 지원, 지역상권 개발 등의 공약을 발표하며 자신이 경제전문가라는 말도 빼놓지 않는다.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 경제가 호황을 누리지 못하고 있다 보니 ‘경제전문가’, ‘CEO구청장’이라는 구호가 주민들에게 먹혀들어갈 것이란 기대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지난 5.31 선거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당시 이명박 전 서울시장이 기업인 출신으로 나름대로 성공한 시장이라는 이미지가 확산되자 기초단체장 후보들은 앞 다퉈 이명박 닮기에 열을 올렸다.
그들은 자신을 경제전문가 혹은 CEO구청장이라고 칭하는 말을 빼놓지 않았다.
그리고 그들이 당선된 이후 지금까지 내놓고 있는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들은 중소기업 육성자금 지원, 상품판로 확보 등 아주 획일적이고 단순한 정책들만 내놓고 있다.
더구나 이런 정책들은 지난 민선3기 구청장들이 공통적으로 추진해 왔던 것으로 전혀 새로운 정책이 아니다.
보는 시각에 따라서는 후보시절 자신을 경제전문가라고 자평한 구청장들의 공약은 오직 표심을 의식한 허구라고 할 수도 있다.
기자가 보는 관점에서는 지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낮은 금리로 융자금을 지원하는 것이나, 지역내 물품 팔아주기 행사는 별다른 성과 없는 전시성 행사에 불과하다.
특히 자치단체 차원에서 대대적으로 중소기업 물품 판매를 위한 시장 개척을 해주는 것이 아니라 단순하게 물건사주기 운동에 그치면서 지역경제를 살린다고 하는 것은 주민을 우롱하는 처사다.
국가경제가 침체돼 있는 상황에서 지역경제를 살린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더구나 1곳의 구청에서 경제를 활성화해 주민들에게 이익이 골고루 돌아가게 하겠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예전부터 시행하던 중소기업 융자금 지원이나 보여주기 식의 상품구매가 아닌 주민들의 피부에 닿을 수 있는 새로운 정책들이 나오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활성화 시키지 못할 지역경제를 선거의 재물로만 삼아서는 안될 것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