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부동산뱅크에 따르면 2월 현재 서울의 1억 원 이하 전세아파트는 475개 단지 12만6609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2월 16만2192가구에 비해 21.94%(3만5583가구)나 줄어든 것이다.
특히 작년 하반기 들어 이 같은 감소세는 더욱 두드러진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상반기 1억 원 이하 서울 전셋집은 312가구 감소에 그쳤지만 하반기에는 무려 3만871가구나 줄었다.
서울의 지난해 신규 입주물량(3만1270가구)이 전년도에 비해 45% 가량 줄었고 하반기에 방학철 학군수요와 재개발·뉴타운 사업 이주수요까지 맞물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서울 25개 구 가운데 전년대비 86.66%(3373가구→450가구) 줄어든 마포구의 감소폭이 가장 컸다. 가재울 뉴타운 이주수요가 몰린데다 인기가 많은 중소형 면적으로만 구성돼 전셋값이 상승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학군수요가 꾸준한 서초구도 47.32%(224가구→118가구) 줄었으며 멸실 가구가 많았던 서대문구도 39.25%(3177가구→1930가구) 감소했다.
이밖에 ▲관악구 -38.91%(2246가구→1372가구) ▲양천구 -31.19%(5066가구→3486가구) ▲강서구 -25.17%(1만2588가구→9419가구) 등도 감소폭이 컸다.
서울에서 1억 원 이하 전셋집이 가장 많은 노원·도봉·강동 3개구의 경우 노원구는 지난해 4만8509가구에서 올해 3만6495가구로 25% 감소했다. 또 도봉구는 1만9689가구에서 1만5521가구로, 강동구는 1만3507가구에서 1만2227가구로 각각 22%와 9.5% 줄어들었다.
김근옥 부동산뱅크 책임연구원은 "공급물량부족과 도시정비사업으로 인한 4만여 가구의 멸실, 경기침체로 인한 전세수요 증가가 전세난을 불러왔다"며 "수급불균형이 계속되는 한 전셋집 구하기는 더욱 힘들어 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부천시, 매력적인 도시공간 조성 박차](/news/data/20251117/p1160308292200179_732_h2.jpg)
![[로컬거버넌스] 전남 영암군, ‘에너지 지산지소 그린시티 100’ 사업 추진](/news/data/20251117/p1160278744105355_303_h2.jpg)
![[로컬거버넌스] 인천시 계양구, 노인복지도시 정책 속속 결실](/news/data/20251113/p1160278567286598_304_h2.jpg)
![[로컬거버넌스] 부산시, 전국체육대회·장애인체육대회 폐막](/news/data/20251112/p1160278846346218_476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