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철우(바로병원장 칼럼) 우리 몸에서 360도 회전이 가능하고 가장 많이 쓰는 부위는 바로 어깨관절이다. 어깨관절은 사용 빈도가 가장 많기 때문에 통증 위험성에 많이 노출되기 마련이다.
어깨관절의 가장 대표적인 질환인 ‘오십견’은 50세를 전후로 많이 발병하게 되는데 최근에는 고령화와 사회 활동의 증가로 50대는 물론 40대, 60대까지 발병 연령대가 넓어지고 있다. 또 어깨통증이 왔을 경우 대부분의 환자들은 ‘나는 오십견이다’라는 잘못된 의학 상식으로 스스로 병을 키우는 경우가 있어 주의를 요한다.
▲어깨질환 “오십견으로 오인” 다가 아니다.
오십견은 관절낭에 염증이 생기고 어깨와 목 사이에 있는 관절이 굳어져서 통증과 함께 기능장애를 유발하는 퇴행성질환이다. 오십대은 남이 팔을 올려줘도 쉽게 올라가지 않고 밤만 되면 극심한 통증과 함께 팔이 빠지는 느낌이 드는 질환이다.
반면 회전근개파열은 팔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해주는 어깨주위 4개의 근육이 파열돼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어깨힘줄이 끊어진 상태이므로 남이 올려주면 쉽게 올라간다. 팔 위쪽의 삼각근 부위에 통증이 나타나며 누우면 통증이 심해지는 특징이 있어 회전근개파열 환자는 밤에 잠을 이루기 어렵다.
또한 나이가 들어 근력이 약해지거나 반복적으로 어깨를 사용해 근육에 염증이 생기는 ‘어깨충돌증후군’, 어깨관절 내의 힘줄이 찢어지거나 분리되는 '슬랩증후군'도 있어 어깨 통증이 있을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병원을 방문해 전문의에게 치료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오십견 치료 “견관절 수압팽창술”을 이용해 치료한다.
오십견이라 불리는 ‘유착성관절낭염’은 관절낭에 염증이 생기고 이로 인해 관절낭이 단단히 굳어져서 어깨에 통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어깨와 목 사이에 있는 관절이 굳어져서 통증과 함께 기능장애를 유발하는 퇴행성질환인데 오십대에 잘 나타난다고 해서 ‘오십견’이라고 흔히 부르는 것이다. 이 질환은 팔을 스스로 올리거나 남이 올려줘도 쉽게 올라가지 않고 낮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다가 밤만 되면 극심한 통증과 함께 팔이 빠지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직접 어깨관절에 접근해 염증반응을 차단하고 근육의 경직을 해소해준다면 치료기간을 1~2달로 단축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도수치료술과 관절 수압 팽창술을 병행하는 것이 좋다.
도수치료는 물리치료의 일종으로 어깨운동 방향을 제한하는 회전근개의 유착을 풀어준다. 하지만 여기에서 중요한 점이 있다. 풀어주는 단순한 과정으로 생각하고 주변에서 마사지를 잘하는 곳을 찾아가는 환자들도 있는데 도수치료는 반드시 전문교육을 받은 전문가에게 치료를 받아야만 신체에 안전하다.
도수치료가 끝나면 관절 수압 팽창술을 시행한다. 관절 수압 팽창술은 어깨관절 속으로 생리식염수를 주입해 염증과 혈액으로 얼룩진 관절을 완전히 씻어내고 관절낭 내부의 유착을 풀어주는 치료법이다.
관절 수압 팽창술은 정밀 영상장치인 C-arm을 이용해 염증 부위를 직접 보면서 시술하므로 정확성이 뛰어나다. 복합시술에 걸리는 시간은 15분으로 무엇보다 시술 후 빠른 시일에 일상생활을 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치료기간도 매우 짧기 때문에 환자들의 부담도 적다.
▲회전근개파열에는 재파열을 막기위해 ‘관절내시경 이열봉합술’을 이용한다.
회전근개 손상 초기에는 재활치료나 근력강화운동, 비수술치료법으로 상태를 호전시키는 것이 좋다. 하지만 회전근개가 완전히 파열된 경우에는 ‘관절내시경’을 이용해 찢어진 힘줄을 봉합하는 수술을 해야만 한다.
관절내시경 수술은 약 2~4mm정도의 작은 구멍을 내고 초소형 카메라가 달린 내시경을 넣어 손상된 부위를 큰 모니터를 통해 자세하게 보면서 치료하는 방법이다. 절개 부위가 작은 만큼 수술 후 통증도 적고 회복기간이 빠르다.
‘이열봉합술’ 역시 파열된 힘줄을 단단히 봉합하되, 파열 부위를 두 겹으로 봉합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봉합술보다 정상에 가까운 어깨힘줄을 재현할 수 있는 치료법이다. 이 치료법은 움직임이 많은 어깨부위의 재파열 확률을 현저히 줄이고 재활치료 시기를 앞당기는 장점이 있다.
어깨통증은 수술이 전부는 아니다. 분명 재활치료에도 많이 신경을 써야 한다. 바로병원은 어깨전문 재활 시스템은 환자의 상태와 어깨의 회복 속도에 따라 1:1 전문 물리치료사와 맞춤 재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어깨를 아예 들어 올릴 수 없었지만 수술 후 약 3주 정도까지 90도, 6주까지 120도, 8주 이후 180도 까지 완벽한 운동이 가능한 방법이 있다. 그것은 바로 가장 정확하고 과학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병원을 찾아가는 것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