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국민경선제 도입 논란 본격화

백희수 / / 기사승인 : 2012-05-24 11:33: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서병수 총장 “일정상 불가능...동원경선 등 문제우려”

심재철 최고 “시기 늦출 수도...동원경선 등 문제없어”

[시민일보] 새누리당은 다음 주에는 대선후보 경선관리위원회를 출범시키고 본격적인 대선준비에 들어가게 된다. 경선관리위원회 출범은 곧 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을 둘러싼 대선주자간의 힘겨루기가 본격화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어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서병수 새누리당 신임 사무총장은 이른바 비박진영의 주자들이 경선룰 개정을 요구하는 것에 대해 24일 “당헌당규상에 있는 원칙을 지켜나가는 것이 여러 잡음을 없애고, 경선을 순조롭게 치를 수 있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서 총장은 이날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 “경선 룰에 관한 것은 당헌당규를 고쳐야 된다. 그래서 상임전국위원회, 전국위원회를 열어야 된다. 과정은 복잡하고 이 논의를 시작하게 되면 후보 개인적인 이해관계에 따라서 다양한 의견이 나올 수 있다. 그런데 (경선일정은) 100일 정도 밖에 남지 않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그는 “우리 당헌당규상에 8월 19일까지는 대선후보를 뽑아야 되는데, 이 기간 내에 과연 이런 의견들이 제대로 절충이 되겠느냐”고 의문을 제기했다.


또 그는 이재오 의원이 ‘8월 말까지 꼭 대선후보를 뽑아야 한다는 법은 없지 않느냐, 서로 합의하에 시기를 늦출 수도 있지 않느냐’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에 대해서는 “당헌당규대로 간다는 것이 지금 지도부의 입장”이라는 뜻을 분명히 했다.


이에 진행자가 ‘새누리당 지지층에서도 완전국민경선제를 도입하자는 여론이 더 높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완전국민경선제를 하더라도 박근혜 전 위원장이 당선될 가능성이 가장 높지 않느냐, 그렇다면 명분과 실리를 다 얻을 수 있는데 굳이 왜 이를 반대하느냐는 의견도 있는 것 같다’고 지적하자, 서 총장은 “그러나 역선택의 가능성이라든가 동원경선의 가능성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그래서 이런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꼼꼼히 따져서 검토를 해야 하는데, 경선을 불과 100여일 앞두고 있는 시점”이라며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을 거듭 피력했다.


그러나 같은 날 친이계 심재철 최고위원은 SBS라디오 <서두원의 시사초점>에 출연, “시기나 비용 등에 대한 문제는 별 문제 안 될 것 같다”고 전혀 다른 의견을 피력했다.


다만 그는 “역선택 문제에 대해서는 심도 있는 검토를 한 번 더 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친박계 일각에서 시간적 제약 문제를 지적하는 것에 대해 “현재 8월 21일로 경선날짜를 잡아놓고 있는 상황인데, 시간을 지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대선에서 승리하는 것”이라며 “그런 점에서 물리적인 제약도 큰 장애는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그는 또 ‘야권의 사례에서 보듯이 모바일 투표를 도입을 해 동원선거 등 여러 가지 부정비리 사례가 나타났던 위험성을 검토해야 하지 않느냐’는 지적에 대해서도 “모바일 투표는 직접선거라는 민주주의 원칙에 어긋나게 된다. 그래서 선관위에서도 반대하고 있는 것이고, 원칙적으로 도입해서는 안 되는 것”이라며 “완전국민경선으로 해서 투표권을 가진 사람들의 대상을 대폭 늘려버리면 동원선거를 할 수 없게 되는 거다. 전국적으로 사람들을 동원해야 되고 돈을 뿌려야 되는데, 이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또 야당을 지지하는 사람이 일부러 역선택을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새누리당은 지금 8월 달 예정이고, 민주당은 10월이나 11월 쯤 예상하고 있기 때문에 여야가 같은 날 치르는 것이 쉽지는 않을 것 같다”며 “역선택 문제를 중심으로 해서 토론회를 한 번 더 열어서 본격적으로 검토를 해볼까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새누리당 경선시기에 대해 “우리가 규정대로 8월에 후보를 뽑아놓으면, 야당은 10~11월에 뽑는데, 그 사이에 저희들은 멍하니 있어야 하는, 이런 상황도 예견된다”며 “그래서 변동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경선시기가 늦춰질 수도 있음을 내비쳤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백희수 백희수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