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자전거 확대사업 혈세 수십억 날리나

이대우 기자 / nice@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5-01-23 16:12:3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신언근 서울시의원 "1대 구입비 672만원… 1회 이용비 모범택시 기본요금 2배" 지적

[시민일보=이대우 기자]서울시의회 신언근 의원(새정치민주연합·관악4)이 23일 서울시의 공공자전거 확대 구축사업이 보행자전거과의 절차를 무시한 행정 등으로 수십억원의 혈세만 날아갈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서울시 공공자전거 확대구축 사업은 올해 시내 5대 거점에 2000대 규모로 시작해 오는 2017년 1만대, 2020년 2만대 규모로 확대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특히 올해 사업은 지난 4년간 총 68억원을 들인 시범사업을 정리하는 것으로 시스템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중요한 시점이다.


그런데 보행자전거과가 기존의 시범사업이 갖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덮은 채 이를 진행하고 있다는 게 신 의원의 주장이다.


신 의원은 “서울시가 제출한 자료에 의하면 공공 자전거 1회 평균 이용 시간은 25분이며 평균 이용거리는 3km”라며 “이는 공공자전거 1회 이용에 모범택시 기본요금(3km) 5000원의 2배인 엄청난 혈세가 소요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당시 공공 자전거 440대 구입에 29억5516만6000원을 투자했으니 대당 웬만한 소형승용차 값인 672만원을 지출한 것”이라며 “그에 비해 공공자전거 대당 일일평균 이용시간은 42.5분으로 23시간17.5분은 아무도 이용하지 않은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신 의원은 “서울시는 공공자전거 이용률을 높이려는 목적으로 스테이션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수억원의 혈세를 지출한 바 있다”며 “그러나 공공 자전거 이용 빈도수를 살펴본 결과 여의도에는 현재 25곳의 공공 자전거 스테이션이 있는데 이 중 시범아파트, 삼부아파트, 롯데캐슬, 5호선 지하철역 등 15곳에서는 어느 정도 이용이 이뤄지고 있으나 여의도 공원 부근 등을 비롯한 북부지역 등 10곳(40%)은 이용률이 매우 저조한 편이이서 수요가 많은 지역으로 이동했어야 하는데 그대로 방치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상암지역은 18개 스테이션 중 무려 10곳(56%)이 적당치 못한 장소에 설치돼 있는데도 이들을 이동시키지 않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신 의원은 “단말기 기능이 지금처럼 자전거에 부착되는 것이 과연 최적인 것인지 의구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그는 “단말기 및 자가잠금장치 고장 증가율은 2011년 기준 2012년 1.38배, 2013년 2.36배, 2014년 3.91배 등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국내 공공자전거 시스템을 조사한 결과 단말기가 자전거에 부착돼 있는 지자체는 서울시, 서초구, 부산시 그리고 대전 총 4곳뿐이고, 창원, 아산, 안산, 일산, 제주, 대전 유성구, 성동 ,마포 ,강북, 노원, 강서, 송파구 등 13개 지자체에는 거치대 또는 키오스크에 단말기 기능이 장착돼 있다. 서울시가 다른 지자체들의 데이터를 비교 분석해 어느 방식이 더 효율적인지 면밀히 검토한 후 추후의 확대구축사업을 계획하고 입찰업체들에게 방향을 정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