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대우 기자] 정부가 세계적인 소프트웨어(SW) 기업 육성에 나선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017년까지 국내 SW기술력을 미국과 비교해 현재 73%에서 80% 수준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이를 위해 쉽고 빠르게 SW를 만들고 SW 개발에 필요한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글로벌 공개(오픈소스) SW를 5개로, 글로벌 SW전문기업을 50개로 각각 늘려나갈 계획이다.
미래부는 이같은 내용의 'K-ICT SW 글로벌 선도 전략'을 마련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앞서 발표한 정보통신기술(ICT) 재도약 전략(K-ICT)의 후속조치다.
발표된 SW 글로벌 선도 전략은 외형적·단기적 성과에 몰두해 원천기술 개발과 도전적인 연구개발(R&D)추진에 주저했던 관행에서 벗어나 SW R&D 구조 개편에 초점을 맞췄다.
미래부는 국내 SW 기초체력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향상 시키기 위해 운영체제(OS), 지능형 SW 등 SW 기초기술 8대 분야를 선정하고, 2017년까지 대학 연구실을 최대 8년간 지원해 분야별 연구 거점 역할을 하는 SW 스타랩을 25개 구축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올해 성장단계 기업을 대상으로 창업투자회사(VC) 등 투자사의 시장선별능력과 인큐베이팅 능력을 활용하는 '시장친화적 R&D(Market Oriented SW)프로젝트'를 도입한다.
이 프로젝트는 투자사가 일정 금액을 투자했거나 투자를 결정한 기업이 R&D 지원 신청을 하면 R&D 전담기관이 기술성 등을 평가해 R&D 지원 대상 기업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잠재력이 큰 국내 SW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R&D·해외진출 등을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지씨에스(GCS · Global Creative SW)프로젝트도 도입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