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간 생활악취 민원 30% 감축
'3, 30. 300 프로젝트'로 소음↓
보안등 LED 조명으로 교체도
[시민일보=전용혁 기자]서울시가 ‘악취ㆍ소음ㆍ빛공해’를 3대 시민생활불편으로 정의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합대책을 수립, 집중 개선에 나선다.
시는 시민 일상생활의 불편을 넘어 삶의 품격을 떨어뜨리고 있는 악취, 소음, 빛공해에 대해 발생원별로 맞춤형 대책을 마련해 집중적으로 개선하겠다고 2일 밝혔다.
3대 시민생활불편 중 악취 분야의 주 원인은 정화조와 하수관로에서 발생해는 하수악취와 인쇄, 도장, 세탁 등 소규모 사업장과 근린생활 시설에서 나오는 생활악취이다.
시는 하수악취를 획기적으로 저감하고 2018년까지 생활악취 민원 30%를 감축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2018년까지 하수악취의 주원인인 부패식정화조 6625곳 전체에 예산 투입과 하수도 요금 감면 등 인센티브를 통해 공기공급장치를 설치할 계획이다.
하수관로도 지속적인 준설, 청소 및 시설개선으로 집중 정비해 나갈 방침이다.
또 단순 불편을 넘어 장기적으로 스트레스, 소화기 장애, 작업능률 저하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소음의 주원인은 크게 공사장 소음과 교통 소음으로 구분되고, 서울지역은 낮 시간에도 소음기준을 상회하는 일이 많고 밤 시간에는 거의 전역이 환경기준을 초과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는 2018년까지 생활소음 3dB 저감, 소음민원 30% 감축, 조용한 마을 300곳 조성을 추진하는 ‘3, 30, 300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민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공사장에 대해서는 24시간 소음을 측정해 공개하는 상시 모니터링시스템 설치를 단계별로 의무화하고 공종, 장비별 소음 저감시설을 강화한다.
현재 연간 900여건이 단속되고 있는 확성기, 음향기계 및 기구, 음향장치를 부착해 운행하는 이륜차 등의 이동소음원은 경찰청과 협력해 관리를 강화하고 확성기소리를 시냇물, 새, 물, 폭포소리 등 자연의 소리로 전환해 사운드스케이프로 활용한다.
빛 공해와 관련, 올해부터 신설되는 조명은 설치 단계부터 빛 공해를 방지하도록 하고 2017년까지 보안등을 100% 컷오프형 LED 조명등으로 교체하며, 2020년까지는 기존 조명도 빛 공해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개선해 나간다.
시내 보안등 21만개를 우리은행과의 협력을 통해 공공조명 LED 교체 전담기구를 설립해 에스코 방식으로 2017년까지 100% 교체한다.
스마트조명 제어시스템도 단계적으로 도입한다. 이달 서울시 전역을 조명환경관리구역으로 지정해 가로등, 광고조명, 장식조명 등의 설치기준을 제시하고 신설조명에 대해 사전심의를 통해 빛 공해를 방지한다.
미디어파사드에 대해서도 가이드라인을 제정해 빛 공해를 사전에 예방할 계획이다.
박원순 시장은 “악취, 소음, 빛공해는 단순 불편을 넘어 건강과 삶의 질을 결정짓는 큰 요인”이라며 “체계적인 관리와 이웃과 함께 조화롭게 화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시작으로 악취 없는 산뜻한 아침을, 소음 없이 즐거운 생활을, 빛공해 없는 진정한 휴식의 서울을 만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