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고수현 기자]청와대가 24일 청와대를 직접 겨냥해 선제적 타격을 공언한 북한의 성명에 대해 경고하고 나섰다.
특히 주한미군 사드(THAADㆍ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 배치 반대 입장을 밝히고 있는 중국측을 향해 다소 수위를 높여 반박했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북한의 성명에 대해 "용납할 수 없는 도발적 언동"이라며 "이로 인해서 야기되는 모든 상황에 대해서는 북한이 전적으로 책임져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날 북한 인민군 최고사령부는 중대성명을 통해 "'참수작전'과 '족집게식타격'에 투입되는 적들의 특수작전무력과 장비들이 사소한 움직임이라도 보이면 선제적인 작전수행에 진입할 것"이라며 "1차 타격대상은 청와대와 반동 통치기관들"이라고 위협한 바 있다.
정 대변인은 중국의 한반도내 사드 배치 반대 입장과 관련해 "주한미군 사드 배치 문제는 증대되는 북한의 핵 미사일 위협에 대한 우리의 자위권적 차원의 조치로 안보와 국익에 따라 결정할 사안"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그러면서 "중국측도 이러한 점(자위권적 차원)을 인식하고 있어야 할 것"이라며 "외교부에서 중국측에 설명을 요구해놓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전날 추궈홍(邱國洪) 주한 중국대사가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를 예방한 자리에서 한반도 사드 배치 문제에 대해 '관계파괴'까지 언급하면서다.
앞서 추 대사는 전날 국회에서 김 대표를 예방하고 사드 배치가 "한ㆍ중 관계를 순식간에 파괴할 수 있다"면서 "회복은 쉽지 않을 것이며, (관계 회복)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