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회 김용석 의원(국민의당·서초4) 은 12일 “세종문화회관(세종)이 당시 전경련에 가입한 것은 전경련 측 요청이 아니라 서울시 지시를 받은 세종 측이 먼저 전경련에 의사를 밝혀 이뤄진 일”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김의원은 이어 “서울시 차원의 결정이었고 박시장도 사후보고를 받고 승인했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당시 서울시는 세종문화회관의 전경련 가입 전 세종 측에 “기업체의 기부나 협찬을 받기 위해 적극적으로 교류를 갖도록 하라”고 여러 차례 가입을 주문했다.
이에 따라 세종의 문화재원팀은 전경련측에 “가입할 수 있겠느냐”는 의사를 타진하고 실무진들간의 조율을 거친 후 2014년 2월 11일 세종의 전경련 가입이 성사됐다.
당시 박인배 세종 사장은 전경련 53차 정기총회에 직접 참석해 기업대표들에게 가입인사를 했고 나흘 뒤 박원순 서울시장에게 전경련 가입사실을 직접 보고했다.
박 사장은 서울시의회에서도 당시 상황과 관련, “보고를 받은 박 시장이 ‘전경련에 가입해서(했으니) 기업들에게 사회공헌사업에서의 문화 분야의 중요성을 적극적으로 설명해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했으면 한다’는 지시를 내렸다”고 밝힌 바 있다.
민예총 사무총장을 지낸 박 사장은 2012년 1월 박 시장에 의해 세종 사장으로 임명됐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세종의 전경련 가입을 사전에 독려한 서울시나 가입을 승인한 박 시장은 2014년의 전경련과 전경련 탈퇴를 하겠다는 지금의 전경련은 무슨 큰 차이가 있는지 설명을 하라”고 요구했다.
이어 “언론이 미르 등 의혹을 제기하지 않았으면 세종은 계속 시민의 돈으로 전경련 회비를 내면서 회원사로 남아 있었을지도 모른다”고 한탄했다.
특히 김의원은 '전경련에서 활발하게 활동하지 않았다'고 한 이승엽 현 세종 사장 발언과 관련해 “왜 세종은 회원사로 활동도 제대로 않으면서 서울시민의 세금으로 그간 전경련에 회비를 내 왔는지, 그 이유를 시민께 설명해야 한다” 지적했다.
앞서 한겨레는 세종문화회관이 당초 ‘민간 재정 후원 등을 확대하라’는 박원순 시장의 지시에 따라 전경련 가입을 추진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당시 ‘비영리법인의 재벌 이익단체 가입은 공공성 훼손 아니냐'는 논란에 대해 서울시는 “전경련 가입은 (전경련과 세종문화회관이) 상호 ‘윈윈’ 할 수 있는 계기”라며 “전경련은 과거 기업인들의 이익중심으로 운영되었지만, 최근 사회공헌에 대한 기업의 요구를 수용하고 있으며, 사회공헌위원회를 두어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을 촉진하고 미래지향적 사회공헌 활동의 전개를 통해 국민과 함께 하는 바람직한 기업상 구현을 지원하고 있다”며 적극 설명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