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사진은 지난 24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 생리대 판매대의 모습.(사진제공=연합뉴스) |
깨끗한나라는 28일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여성환경연대와 강원대 연구팀에 지난 3월 발표된 생리대 유해성 연구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이 검출된 릴리안 외 9개 제품의 상세 내역을 공개할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여성환경연대는 생리대의 유해성을 연구하는 프로젝트를 강원대 연구팀에 맡긴 후 지난 3월 생리대 10종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포함한 유해물질 22종이 검출됐다고 발표했지만, 강원대 연구팀이 "릴리안의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가 가장 높았다"고 밝힌 것 외에 다른 제품의 브랜드명 등은 공표하지 않았다.
깨끗한나라 관계자는 "여성환경연대와 강원대 연구팀은 시험 대상 제품의 선정 기준과 선정 주체, 시험 대상 제품의 제조 일자, 시험의 신뢰 수준을 포함한 시험 방법에 관한 설명, 시험 결과 발표 후 특정 브랜드명(릴리안)이 외부에 공개된 사유와 경위를 밝혀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어 "릴리안에 대해서만 시험 결과가 공표돼 마치 릴리안만 특별한 문제가 있는 것과 같은 편견을 국민에 심어줘 유감"이라며 "강원대 연구팀과 여성환경연대가 '시험한 제품명을 공개해 신속하게 대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밝힌 후 제품명을 공개하지 않겠다고 번복한 것은 무책임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여성환경연대는 '2015년도 생리대 브랜드별 매출량을 기준으로 순위를 매긴 후 제조업체가 겹치지 않는 범위에서 1위부터 10위 사이의 제품을 시험 대상으로 선정했다'고 밝혔으나 AC닐슨의 매출량 순위 자료를 보면 팬티라이너 1위 제품과 중형생리대 2위 제품이 시험 대상에서 제외됐고 다수의 동일 제조업체 제품이 한꺼번에 시험 대상에 포함되는 등 공정성에 의문이 간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깨끗한나라는 "시험의 공정성과 순수성을 명확히 하고, 이에 관한 제반 의혹 및 소비자 불안을 하루빨리 해소하는 데 필요 사항을 조속히 공개해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법적 대응 수단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여성환경연대는 검사결과 공개 요구에 '미공개'를 결정하면서 보고서 공개 여부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일임하겠다'고 밝혔지만, 식약처는 '대리 공개는 힘들다'는 입장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