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남 신공항 유치 경쟁 갈등상황 고려한 정치적 결론"
[김해=최성일 기자] 엄정 경남 김해시의원은 25일 열린 김해시의회 제205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김해신공항 전면 백지화를 주장하고 나섰다.
이날 엄 의원은 "김해시민 다 죽이는 김해신공항 건립 전면 백지화만이 유일한 대안"이라며 김해신공항이 정치적 결론에 의한 점을 강조했다.
그는 김해신공항의 결정이유가 부산 가덕도와 경남밀양의 영남권 신공항이라는 두 지자체간의 치열한 유치경쟁의 갈등이 극에 달한 상황을 고려한 정치적 결론이라는 점을 지적하며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김해공항의 확장으로 영남권 제2관문 공항으로 건립하겠다는 계획에 대해 "김해시민들은 세부적인 안이 발표되기 이전에는 신공항건설이 김해시 발전으로 이어지길 기대했던 것도 사실"이라며, "지난해 6월 김해신공항 정부계획안은 김해시민을 기대감에서 절망감으로 빠뜨렸다"고 꼬집었다.
특히 2본에서 3본으로 늘어나는 활주로 증설과 연 운행횟수 29만9000회로의 증가, 그리고 이용객수가 국내외선 합쳐 3800만명으로 늘어난다는 점을 간과했다고 주장했다.
또 "새롭게 건립되는 3200미터의 활주로 방향이 김해를 관통함으로써 발생되는 항공기 소음 문제는 김해시민 대부분이 심각한 소음 공해에 빠질 가능성을 야기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경남 발전 연구원의 예비타당성 조사에 따르면 김해 6개 지역(칠산서부동, 주존, 회현, 부원 내외, 불암)이 소음지역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며, 3만3000가구, 해당인구는 8만명인 것으로 드러났다.
엄 의원은 소음의 크기가 70웨클이라고 강조하며 "이는 바로 옆 사람과도 대화가 어렵고 통화조차 불가능하며, 인접(장유, 북부동, 동상동, 삼정동 등)지역까지도 사실상 소음 피해지역이 된다"고 강력 주장했다.
그는 국토부와 부산시에 대해서도 김해 신공항의 활주로를 부산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면 김해공항의 명칭을 부산공항으로 하라고 지적하면서 그동안 부산시가 주장해 온 김해공항의 명칭변경에 대해 더 이상 거론하지 말 것이며, 만약 계속 주장한다면 행정구역변경으로 일방 편입된 부산강서구 옛 김해 대저읍 반환을 촉구하는 우리 땅 찾기 범김해시민운동을 전개해 나가겠다고 엄포를 놓기도 했다.
엄 의원은 허성곤 김해시장을 겨냥해 김해 시민의 뜻 잘 받들어 김해신공항 원천무효 백지화 운동을 시차원에서 전개해 줄 것을 촉구했다.
끝으로 엄 의원은 "김해 시민의 생존권보다 더 귀중한 것은 없다"면서, "김해시민의 뜻이 전혀 반영되지 않은 김해 신공항건립은 원천무효고 전면 백지화해야 하며 자발적으로 구성된 '김해신공항 건립 반대 대책위원회'를 중심으로 김해시민 전체와 계속적인 투쟁을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엄 의원은 김해중, 김해고, 동아대를 거쳐 현재 김해시의회 행정자치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자유한국당 김해지역 시·도의원 협의회 간사를 맡고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