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소문 역사문화공원 건립사업은 국·시·구비 포함 총 575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서소문 공원을 조선후기 사회변화와 순교자 추모 등을 표현하는 공간으로 리모델링하는 사업이다. 올해에는 국·시비 206억원을 교부받았으며, 현재 28%가량 공사가 진행 중이다.
추경안은 전자투표에 참석한 9명의 의원 중 찬성 4명, 반대 5명으로 부결됐다. 이번 추경안 부결로 구비 51억6800만원이 예산에 편성되지 못해, 올해 교부받은 국·시비 206억원이 환수될 가능성이 커졌다. 이렇게 되면 예산부족으로 공사가 중단돼 사업이 백지화될 수 있다.
행정사무조사 특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변창윤 의원은 <시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집행부에서는 용역 결과, 역사공원 준공 후 관리비가 19억원 정도 들 것이라고 하는데, 서소문 역사공원보다 연면적이 좁은 서울역사박물관 관리비가 매년 140억원 이상이 든다"며 "물론 어떤 컨텐츠로 관리하느냐에 따라 비용이 달라지겠지만, 조사특위 활동을 5개월간 하면서 판단하건데 서소문 역사공원은 최소 연간 관리비가 40~50억원 정도 들어갈 것으로 예측되며, 혈세 낭비를 막기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변 의원은 "서소문 역사공원은 현재 천주교 위주로만 설계가 돼있다. 조선후기 역사 문화와 천주교를 아우르는 콘텐츠를 담기 위해서는 설계변경이 있어야 한다"며 "21일 시작되는 정례회 전에 조사특위 활동을 마무리하고, 사업 관련 잘못된 부분과 정책적 대안을 결과물에 담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중구청 관계자는 "서소문 역사공원 시발점이 천주교가 모티브가 된건 맞지만, 기본·실시 설계때 종교적인 색을 다 없앴고,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설계를 진행했다. 준공 후 관리를 할 때에도 공원과 관련된 조선후기 역사를 최대한 반영할 계획"이라며 "또한 서울역사박물관은 서소문 역사공원과는 성격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관리비를 단순 비교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정례회에서 올해 예산 미확보분을 포함해 내년도 예산 편성을 요청할 계획이며, 문체부나 서울시 관계자와도 회의를 통해 교부금이 환수되는 일이 없도록 총력을 다해야 되는 상황"이라며 "공사가 중단되면 사업이 무산될 수 있고, 그러면 막대한 매몰비용이 발생되기 때문에 최대한 공사 중단은 막아야 된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