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서부경찰서 불로지구대 조태현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됨에 따라 정부에서는 전 국민 대상으로 긴급생계자금을 지급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와중에도 사기꾼들은 국민을 상대로 ‘긴급생계자금’명목으로 스미싱 문자를 보내고 있다.
‘스미싱’이란, ‘무료쿠폰 제공’, ‘돌잔치 초대장’ 등을 내용으로 하는 문자메시지 내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면 악성코드가 설치되어 소액결제 피해발생 또는 개인·금융정보를 탈취하는 수법이다.
최근에는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한 국민들의 불안정한 심리를 악용하는 수법까지 더해져 더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코로나19 확진자나 접촉자의 신원정보를 확인시켜준다며 특정 인터넷 주소(URL)를 첨부하는 방법’, ‘확진자나 접촉자가 다녀간 음식점이나 상점 위치를 포함하고 있는 특정 인터넷 주소(URL)를 첨부하는 방법’, 등 안내문자를 사칭하여 불안한 국민들로 하여금 이를 클릭할 수밖에 없도록 하는 수법에 대해 소개한 바 있다. 이 링크를 클릭하는 순간 휴대폰에 악성 앱이 설치되고 이를 삭제하더라도 설치 과정에서 개인 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
불과 얼마 전까지는 마스크 대란이라고 할 정도로 지역사회에서 마스크를 구하는 일이 어려웠다. 당시에는 마스크 결제와 관련된 허위 내용이 포함된 문자를 전송함으로써 이에 당황한 시민들로부터 개인정보를 비롯한 각종 금융정보를 얻어내는 수법의 보이스피싱이 적지 않게 발생했다.
뿐만 아니라 코로나19로 금융 관련 대출과 정부의 자금 지원제도가 증가하자, 금융기관이나 정부지원센터를 사칭하는 수법 또한 성행하고 있다. ‘정부지원 소상공인 대출을 받기 위해 신용도를 높이면 더 많은 금액을 지원받을 수 있다.’, ‘저축은행 대출 약관에 따라 현재 대출금을 모두 갚아야 한다.’ 등의 수법이다. 이 중에는 공신력 있는 금융회사를 사칭하는 경우도 있어 국민들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스미싱 문자특징을 알아보자. 스미싱 문자 대표적인 특징은 바로 문자 안에 인터넷 주소가 있고, ‘[web발신]’ 문구가 있는 점이다. 예시를 보면 ‘[web발신] [긴급재난자금] 상품권이 도착했습니다. 확인해주세요. https://bit.ly/3aSTMe’문자 안에 인터넷 주소와 web발신 문구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위와 같은 형식의 문자는 스미싱 문자이니, 절대로 클릭하면 안 된다. 클릭하게 된다면 악성코드가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소액결재 피해 또는 개인정보가 빠져나갈 수 있다.
이와 비교하여 정상적인 문자 형식을 살펴보면, 정상 안내 문자에는 인터넷주소가 없고, [web발신]이라는 문구가 없다. 예시를 보면 바로 알 수 있다.
‘귀하는 대구시 긴급생계자금 지원대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귀하께서는 신청하신 배송지로 등기 배송될 예정이니, 반드시 세대주 또는 신청인이 수령하시기 바랍니다.’
스미싱 예방이 최선인 만큼, 꼭 위 사항을 알아서 의심되는 문자는 클릭하지 말고 바로 삭제하자.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