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의 범죄학자인 제임스 윌슨과 조지 켈링이 1982년 사회 무질서에 관한 이론인 '깨진 유리창(Broken Windows)의 법칙'을 발표했다.
유리창이 깨지고 번호판도 없는 자동차를 거리에 방치하고 사람들의 행동을 관찰했더니 사람들은 배터리나 타이어 같은 부품을 훔쳐 가고 더 이상 훔쳐 갈 것이 없자 자동차를 마구 파괴해 버렸다.
이 사례에서 보듯이 깨진 유리창 하나를 방치해 두면, 그 지점을 중심으로 범죄가 확산되기 시작한다는 이론으로 사소한 무질서를 방치하면 큰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의미다.
이러한 과거 이론에 대해 소개한 이유는 현재 우리들이 살아가고 있는 사회를 보다 안전하게 만들기 위한 방법론에 있어 시사하고 있는바가 크기 때문이다.
기초질서는 사회와 내가 지키기로 약속한 가장 기본적인 규칙인 것이다. 가장 기본적인 것이기 때문에 지키기도 쉽지만 이를 어기는 것 또한 쉬워지기 마련이다. 하지만 ‘쓰레기 하나 버리는 것이 머 어때서’, ‘나 하나 쯤이야’ 라는 안일한 인식 속에 위반한 기초질서가 앞서 언급한 이론에서처럼 우리 사회에 보다 큰 악영향으로 돌아 올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우리나라는 국제적으로 치안 강국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치안 강국의 명성을 유지하고, 현재 생활하고 있는 시민들이 체감적으로 보다 안전한 곳에 살고 있다는 느낌을 받게끔 하려면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
인천지역의 치안을 책임지고 있는 인천경찰에서는 이러한 고민을 바탕으로 지역특성에 맞는 치안정책 개발과 주민 밀착형 치안활동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경찰의 이러한 노력과 함께 높은 시민의식이 바탕으로 쓰레기 투기 금지, 교통법규 준수 등 인천 시민들의 기초질서 준수 노력이 더해진다면 보다 안전한 사회를 만들고자 하는 목표 달성에 성큼 다가설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안전한 사회는 모두가 바라는 공동의 목표이다. 이를 위해 사회 구성원 모두가 동참하는 공동체 의식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기이다. 모두가 함께 작은 것부터 실천하고, 가일층 노력하며 만들어진 안전한 사회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오래 지속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