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학대 가해자 82%는 '친부모'

여영준 기자 / yyj@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1-08-31 15:54:46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작년 학대 사례 3만905건
학대 사망 아동 43명 달해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2020년 아동학대 가해자 10명 중 8명은 부모였으며 아동 43명이 학대로 목숨을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2020 아동학대 연차보고서'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제출했다고 31일 밝혔다.

복지부에 따르면 2020년 아동학대로 최종 판정을 받은 사례는 총 3만905건이었다.

아동학대 피해 건수는 2015년 1만1715건에서 2017년 2만2367건, 2019년 3만45건으로 계속 늘었다.

아동학대 신고 건수는 2020년 4만2251건이었다.

 

신고 건수 역시 2015년 1만9214건, 2017년 3만4367건, 2019년 4만1389건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학대 행위자가 부모인 경우가 2만5380건으로 전체의 82.1%를 차지했다는 게 복지부의 설명이다.

또한 ▲대리양육자 2930건(9.5%) ▲친인척 1661건(5.4%) ▲타인 565건(1.8%) ▲기타 369건(1.2%) 등이었다.

특히 대리양육자 중에는 초중고교 직원(882건), 보육교직원(634건), 아동복지시설 종사자(556건) 등이 아동을 학대한 사례가 많았다.

학대 유형은 여러 학대 유형이 중복해 나타난 경우가 1만4476건으로 전체의 절반에 육박했다.

 

이어 정서 학대 8732건, 신체 학대 3807건, 방임 2737건, 성학대 695건이었다.

학대 피해 아동이 다시 학대를 당하는 재학대 발생도 3671건에 달했다.

2020년 학대로 숨진 아동은 43명이었다. 아동학대 피해가 늘면서 학대 사망자도 2015년 16명, 201년 38명, 2019년 42명으로 많아졌다.

학대 피해 아동 발견율은 2015년 1.31‰(퍼밀), 2017년 2.64‰, 2019년 3.81‰, 2020년 4.02‰로 증가하는 추세다.

복지부는 아동학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확대하면서 매년 피해 아동 발견율은 꾸준히 늘고 있다고 밝혔다.

복지부 관계자는 "실효성 있는 아동학대 예방 정책 시행에는 정확한 아동학대 현황과 실태 확인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연차보고서를 활용해 정책을 계속 시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