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객 33.2% 외지인, 총 소비 액 8억 1,370만 원
![]() |
| ▲ 군분로 글로벌 토요 야시장 개장식 자료사진 / 광주광역시 남구청 제공 |
남구는 24일 “군분로 토요 야시장 축제의 방문객 특성 및 소비 규모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이동 통신사 SKT의 유동 인구와 신한카드의 소비 매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축제 기간 방문객은 11만 8,677명이었고, 총 소비 액은 8억 1,370만 원 가량이었다”고 밝혔다.
세부 결과를 보면 군분로 토요 야시장은 지난 9월 6일부터 27일까지 총 4차례 열렸는데, 1회 당 평균 방문객은 2만 9,669명으로 나타났다.
방문객이 가장 많은 날은 양궁 국가대표 기보배 선수의 사인회가 열린 1회 야시장으로, 3만 5,720명이 방문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특히 사인회가 시작된 오후 8시 무렵 방문객은 1만 3,362명에 달해 당일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2회 차부터 4회 차 야시장은 악천후 영향으로 방문객 수가 감소해 아쉬움을 더했다.
방문객 연령별로는 50대가 2만 669명(17.42%)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60대 2만 486명(17.26%)와 40대 1만 9,989명(16.84%), 10대 이하 1만 7,109명(14.42%) 순으로 나타났다.
방문객들이 축제 기간 소비한 금액은 8억 1,370만 원으로 파악됐다.
야시장 1회 당 평균 소비 액은 1억 6,274만 원 가량이었으며, 토요일과 일요일 평균 소비 금액을 각각 비교하면 토요일 평균 소비 액은 2억 300만 원으로 일요일 9,200만 원보다 2.2배 많았다.
또 업종별 매출을 보면 미용과 가정생활‧서비스 업종의 소비가 크게 증가했는데, 특히 정육과 농수산물 매출 증가세는 토요 야시장이 당일 외식 수요 뿐만 아니라 주말 장보기와 연계돼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까지 거두고 있음을 보여줬다.
이밖에 거주지 별 방문객 현황으로는 남구 주민 비중이 66.71%로 가장 많았고, 인접 지역인 서구와 북구, 광산구를 비롯해 나주, 화순 등지 방문객은 30.97%이었다. 전라북도와 경기도, 서울에서 온 방문객은 2.23%를 차지했다.
남구 관계자는 “군분로 토요 야시장이 소상공인 매출 증대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한 효과가 확인된 만큼 내년에도 야시장 준비를 철저히 해 광주를 대표하는 토요 야시장으로 육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경기 부천시, 미디어아트 공간 '루미나래' 개장](/news/data/20251123/p1160271206724156_364_h2.jpg)
![[로컬거버넌스] 경남 합천군, 쌀 산업 위기 극복 팔걷어](/news/data/20251119/p1160278499965424_411_h2.jpg)
![[로컬거버넌스] 경남도교육청, 올해 ‘공동 수학여행’ 성공적 마무리](/news/data/20251118/p1160278826050924_127_h2.jpg)
![[로컬거버넌스] 부천시, 매력적인 도시공간 조성 박차](/news/data/20251117/p1160308292200179_732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