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 의원은 이날 오전 KBS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김 대표의 당직 인선을 두고 '연포탕이라고 하기엔 아쉬운 인사'라는 지적의 목소리가 당내에서 나오는 것에 대해 "내부적으로 비판적 관전평이 여러 가지 있을 수 있지만 이번 전당대회는 당정 일체, 또는 당정 융합을 이뤄 국정 안정을 이끌어가려는 당심의 명령에 의한 선거였다. 그래서 친윤의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뽑았고 후속 인사라는 당심을 반영할 수밖에 없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그 와중에 연포탕을 실현하기 위해 지명직 최고위원은 유승민계라고 하는 강대식 의원을 하셨고 대변인 중에도 김민수 대변인은 나경원측 사람으로 평가를 받고 있다"며 "그리고 바로 안철수 의원, 황교안 전 대표를 만나서 당의 화합과 통합을 논의하셨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결국 연포탕의 실현은 총선에 있어서 편파적인 공천이 아니라 능력에 맞고 객관적이고 잡음 없는 공천을 함으로써 그 실현이 완성된다"며 "결국 이번 인선은 전당대회에 당원들의 의사를 반영한 기본적 인사이지만 당직 자체가 워낙 제한돼 있기 때문에 '연포탕'의 실현은 22대 총선을 치러야 하는 당 리더십인데 거기에서 제대로 약속을 지키는 모습을 보여드릴 것으로 생각한다"고 내다봤다.
그는 이른바 '이준석계'에 대해서는 "포용도 가능하다고 본다"며 "제일 중요한 건 당원들의 명령을 (이준석계)본인들이 고찰을 하셔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당원들께서 안정적 국정 운영, 그리고 당정 일체에 대한 요구가 강했는데 과거에 보여준 것처럼 내부 총질이나 계속적인 비아냥, 이런 식으로 갈등을 유발하는 모습이 반복된다면 결국 당원들의 선택을 받지 못한다"며 "그것은 현재 국민의힘 내부, 당원들의 요구이기 때문에 그런 자세에 대해 한번 돌이켜보실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외에 우수한 재원들이 또 있는데 그분들이 능력을 갖추고 있다면, 또 화합형의 자세를 갖추고 있다면 언제든지 나중에 등용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당이라는 건 기본적으로 내부에서 여러 가지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용광로처럼 그 안에서 많은 논의가 있지만 나올 때는 하나의 철이 나오지 않는가"라며 "그런 것처럼 당이 그런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