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민노총 고용세습이 선관위 고위직에도 있었다니 경악“
[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중앙선관위원회 사무총장과 사무차장의 자녀가 선관위 공무원으로 채용된 사실이 알려져 ‘고위직 고용세습’ 논란이 커지고 있다.
국민의힘은 11일 "선관위에 대한 대대적인 개혁이 시급하다"고 공세를 폈다.
실제로 박창진 선관위 사무총장 자녀는 지난해 1월 전남 선관위 경력직에, 송봉섭 차장 자녀 역시 2018년 충북 선관위 경력직에 채용된 사실이 드러났다.
박 총장이 사무차장이던 지난해 1월 광주 남구청에서 근무하던 박 총장의 자녀는 전남 선관위 경력직 9급에 채용돼 현재 강진 선관위에 재직 중이다.
송 차장의 자녀도 충남 보령시에서 근무하다 2018년 선관위 경력직 8급에 채용돼 현재 7급 공무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앞서 직전 선관위 사무총장이었던 김세환 전 총장도 2020년1월 강화군에서 근무하던 아들 김모씨가 인천시 선관위로 이직했고, 6개월 뒤인 7월 7급으로 승진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을 빚었다. 아들 이직 당시 김 전 총장은 선관위 이인자인 사무차장이었고 아들의 승진 3개월 뒤인 2020년 10월 사무총장(장관급)에 취임했다. 아들 김씨는 또 지난해 2월 중앙선관위가 파견한 12명의 미국 출장단에 포함되면서 특혜 논란이 일었다.
김 전 총장은 아들 채용 논란이 보도된 지 하루만인 지난해 3월16일 "사전 투표 부실 관리 책임을 통감한다"며 사퇴했다.
이에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소쿠리 투표로 사퇴했던 김세환 전 총장도 2022년 선관위로 이직하고 6개월 뒤 7급 승진, 해외 출장 논란이 있었는데 이쯤 되면 선관위 고위직의 고용세습"이라고 날을 세웠다.
김 대표는 "민노총에만 있는 줄 알았던 고용세습이 국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가장 공정하고 투명해야 하는 선거관리 조직 고위직에서 버젓이 벌어진 데 경악을 금할 수 없다"라며 "철저한 조사가 성역 없이 이뤄져야 하며 관계 당사자들은 엄중한 법적 책임과 도의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근 북한이 선관위를 끊임없이 해킹하고 있다는 사실을 국정원이 선관위에 알렸음에도 불구하고 선관위는 국정원의 보완 점검을 거부한 바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기도 했다"라며 "경력직 채용으로 포장해 고용세습을 일삼고 북한의 해킹에 대한 보완 점검도 무시해버리는 선관위가 국가의 주요 선거를 공정하게 관리할 수 있는 역량이 되는지 심히 의문이 든다"고 지적했다.
앞서 유상범 국민의힘 수석대변인도 전날 논평에서 "과연 국민께서도 선관위 사무총장과 사무차장의 자녀가 연이어 선관위 경력직에 채용이 된 것을 공정하다고 생각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만약 일반 회사라면 아버지가 임원으로 있는 회사에 경력직으로 채용된 것이나 마찬가지인데 이를 두고 '문제없다'고 할 수 있겠는가"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노태악 위원장은 직을 걸고 해당 사안에 대해 조사는 물론 필요하다면 감사원 감사도 청구해야 할 것이고 나아가 위법사항이 있었는지에 대한 철저한 수사도 촉구한다"고 감사와 수사를 촉구했다.
한편 선관위 측은 "박씨와 송씨의 채용은 법과 원칙에 따라 공정하게 이뤄졌고 아버지들이 영향을 미친 바는 전혀 없다"고 했다. 이어 "선관위 경력직 채용은 중앙과 지방 공무원 모두에 열려있다. 또 경력직에 채용되면 원거리 지역에 배치되고 전보 제한으로 수년간 근무해야 한다. 이 때문에 지원자 미달로 공모 기간을 연장하는 등 인기가 높지 않다. 광주에서 근무하던 박씨도 선관위 채용 뒤 원거리 지역인 강진에 배치돼 자취하는 등 고생했다고 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