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대통령, 6·25 73주년 맞아 “피 묻은 군복 의미 기억해야“

여영준 기자 / yyj@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3-06-25 12:03:11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김기현 “북한과 소련 도발 책임 사실 부인하는 세력이 있다”
한덕수 “정부는 일류 보훈으로 영웅들의 헌신에 보답하겠다”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6.25 전쟁 발발 73주년을 맞은 25일 “자유 대한민국을 있게 한 영웅들의 피 묻은 군복의 의미를 기억해야 한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73년 전 오늘, 트루먼 미국 대통령은 위기에 처한 대한민국의 자유를 수호하기 위해 참전을 결정했다”라며 “미군 178만명을 포함해 유엔군 195만명이 우리의 자유를 지키기 위해 한걸음에 달려왔다”고 전했다. 이어 “3년여간 이어진 전쟁에서 62만명의 국군과 13만명의 미군을 포함한 15만명의 유엔군이 전사, 실종, 부상 등의 피해를 입었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우리는 참전 용사들과 그 가족들이 흘린 피와 눈물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며 “자유 대한민국을 있게 한 영웅들의 피 묻은 군복의 의미를 기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강력한 힘만이 진정한 평화를 보장한다”며 “공산 세력의 침략에 온몸으로 맞서 싸워 자유를 지켜낸 영웅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자유 대한민국을 더욱 굳건히 수호하고 세계시민의 자유와 번영에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6.25 전쟁의 기원을 두고 아직도 철없게도 북한과 소련에게 도발책임이 있다는 엄연한 사실을 부인하는 세력이 있다"고 비판했다. 이는 문재인 전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 대표는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73년 전 오늘, 소련과 중국의 전폭적 지원 아래 북한 공산군이 우리 대한민국을 기습 침략했던 새벽을 반추해본다"며 "북한의 전쟁 도발을 사전예측해 대비하지 못한 탓으로 우리 국민들이 겪어야만 했던 그 혼란과 참상은 두고두고 결코 잊어서는 안 될 아픈 교훈"이라고 했다.


이어 "기밀 해제된 구 소련의 문서들과 국내외 학자들의 객관적 연구 결과 그리고 전쟁을 몸소 겪으셨던 우리 선배세대들의 증언과 기록을 종합하면 북한과 소련이 6.25 전쟁의 패륜적 도발자였던 사실은 너무나 명백하다"며 "그럼에도 6.25 전쟁의 기원을 두고 아직도 철없게도 북한과 소련에게 도발책임이 있다는 엄연한 사실을 부인하는 세력이 있다"고 했다.


그는 "심지어 어떻게든 북한의 책임과 전쟁범죄를 한사코 감싸고 덮어주려는 친북적·종북적 사관을 주장하는 허무맹랑한 자들도 있다"며 "이들이 한 때 대한민국의 정권을 잡고 종속적이고 굴욕적인 대북관계로 일관하며 '가짜 평화쇼'에 올인한 탓으로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가 위협 받기도 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저와 우리 국민의힘은 자유와 민주를 지키기 위해 목숨까지 아끼지 않으신 호국용사들과 유엔군 용사들께 무한한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바치며 당당한 승리의 역사를 바탕으로 한반도의 자유와 평화, 민주를 더 확실하게 다지겠다"며 "한미동맹을 비롯한 자유진영 동맹국들과의 연대를 통해 이 나라의 안전과 지속가능한 평화를 든든하게 지켜나가겠다"고 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날 서울 중구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제73주년 6.25 전쟁 기념식에 참석했다. 한 총리는 “북한은 지금도 6.25 전쟁 당시의 헛된 망상에서 깨어나지 못하고 있다”며 “정부는 북한의 거짓된 선의에 의존한느 가짜 평화가 아니라 강력한 자주국방으로 우리의 안보를 지키겠다”고 말했다.


이어 “자유민주주의 등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과 연대 또한 안보의 핵심이 될 것”이라며 한미일 안보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지난 4월 윤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은 70주년을 맞이한 한미동맹을 핵 기반 안보 동맹으로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며 “한국의 이번 유엔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진출은 북한의 핵 위협에 대한 한미일 3구 간 연대와 협력을 더욱 확대할 기회”라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자유와 평화와 번영은 젊은 영웅들이 전쟁터에서 흘린 피와 땀과 눈물의 대가임을 기억해야 한다”며 “정부는 국가가 끝까지 책임지는 일류 보훈으로 그분들의 헌신에 보답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