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대철 헌정회, 화려한 변신...정치 중심으로 ‘우뚝’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3-07-13 12:37:49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원로 모임 출범...대안 제시로 어른 역할 하겠다”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대한민국 전직 국회의원들의 친목 모임으로 현실정치에서 한발 물러서 있던 대한민국 헌정회의 화려한 변신이 화제다. 정대철 회장을 수장으로 만나면서 MZ 세대 못지않은 에너지를 발휘하며 그동안 국회내 ‘파고다 공원’으로까지 희화화되던 설움을 씻어내고 있다는 평가가 따른다.


특히 30대 금배지로 시작해 5선 관록을 쌓으며 46년 정치 여정을 이어온 거장의 울림이 역할을 했다는데 이론의 여지가 없어 보인다.


실제 지난 3월 ‘국가 원로 단체로서의 헌정회 위상 재정립’ 등의 공약으로 정 회장이 당선된 이후 김진표 국회의장이 찾아와 ‘정대철 헌정회’ 출범에 힘을 싣는 진풍경이 있었다.


정 회장이 취임 일성으로 ‘정책대안 제시와 정치선배, 원로로서 충고와 진언을 아끼지 않는 헌정회의 역할’을 강조했던 그가 오는 17일 ’11인 원로회‘ 출범을 공식화하고 나선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돼야 할 부분이다. 구순을 넘긴 신영균ㆍ권노갑 여야 상임고문을 비롯해 김원기ㆍ김형오ㆍ문희상ㆍ정세균ㆍ정의화(참석 의사 밝힌 강창희ㆍ박희태ㆍ임채정) 등 전직 국회의장들을 한 곳으로 모을 수 있었던 건 정대철 헌정회장이라 가능했다는 게 중론이다.


실제 인터뷰를 위해 오랜만에 마주한 정대철 회장은 세월의 간극이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자신감이 넘쳤다. 무엇보다 자유로운 영혼을 품은 원칙주의자의 꼿꼿한 내공은 여전히 건재해 보였다.


현실정치를 논하는 목소리는 거침이 없었고 대통령을 향한 조언에도 진심이 담겨 있었다.


그는 “야당은 다수의석을, 여당은 사법 권력을 앞세우는데 가능한 안 써야 하고 마지막 수단이어야 할 힘의 논리에 너무 쉽게 기대려 한다”고 우려하면서 “정치생명 연장을 위해 진영논리를 이용하려는 정치인들의 행태도 문제이긴 마찬가지”라고 날을 세웠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서도 “대통령이 권력과 정보가 집중되니 뭐든 다 안다는 생각에 남의 말을 잘 들으려 하지 않고 야당을 동반자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며 “대통령이 특별히 여소야대 현실에서 가능한 많은 야당 인사들을 접촉해야 하는데 취임 1년이 지나도록 아직 야당 대표를 만나지 않고 있다”고 쓴소리를 아끼지 않았다.


그러면서 “이재명 대표가 형사 피의자라 안 만난다는데 결국 윤석열 대통령 책임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한 그는 “대통령이 안 만나면 여당에서라도 만남에 적극적이어야 하는데 눈치만 보고 있다”며 “한발짝씩 서로 물러나 상대방 입장을 인정하려는 의지를 보여야 하고 특히 대통령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민주당을 향해서도 “진영논리에 치우치지 않으려면 균형 있는 정치적 시각을 가져야 한다”며 정치 감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김대중 전 대통령의 경우 (정적이었던)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해 이 나라 경제발전에 한몫했다고 인정할 정도로 상대의 마음을 사기 위해 노력했다”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신당 창당 움직임이 일고 있는 데 대해서는 “현재의 정치는 정치가 아니고 전쟁처럼 보이는데 정치권에 대한 국민적 불신이 극에 달한 결과”라면서도 ‘국민적 불신’을 원인으로 꼽았다.


특히 정 회장은 제3당의 성공 가능성에 대해서는 “다양한 정당, 다당제가 정당민주주의를 위해 바람직하다”면서도 “과거 안철수처럼 제3지대에 강력한 대통령 후보가 나와서 국민적 지지를 받으면 되는데 현재는 그것이 없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보수ㆍ진보라는 진영논리가 팽배해 있고 이것이 지역구도와 만나 승자 독식이 가능해진 현 선거구제 밑에서는 제3당이 나오기 어렵다”면서 이같이 전망했다.


모든 걸 힘의 논리로만 해결하려는 현실정치에 대해서도 신랄한 비판을 아끼지 않았다.


그는 “민주주의의 기본원칙인 너와 내가 다를 수 있다는 데서 시작해야 하는데, 지금은 ‘너는 틀렸고 나만 옳다’로 끝내고 만다”며 “대화, 설득, 타협이 불가능해지면서 화해⋅포용⋅상생⋅협치의 정치 역시 실종된 상태”라고 지적했다.


특히 “한쪽이 사정 권력이나 거부권에 의지한다면, 다른 한쪽은 국회의 다수의석으로 밀어붙이고 지역 기반에 기댄 진영논리로 독식하려 드는 선거구도”라며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대통령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무엇보다 야당을 국정의 동반자로 인정해야 한다”며 “여소야대 상황에서 야당 지도자는 물론 야당 국회의원, 시민지도자들을 만나 허심탄회한 대화와 설득을 통해 타협의 정치를 주도해야 한다”고 거듭 주문했다.


후쿠시마 원전 처리수가 최근 정쟁의 중심에 선 상황과 관련해서는 “IAEA는 감리기관이 아니라 컨설턴트에 불과하다”며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이 제공하는 방사능 오염수 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매우 낮다고 학자들도 얘기한다”고 IAEA 보고서의 신뢰성을 문제 삼았다.


그러면서 “여야 동수로 과학자, 환경학자 선정해서 공동 대처하도록 대통령과 여당이 먼저 제안해야 한다”고 대안을 제시하면서 “국민을 설득하려는 의지도 없고, 일본만 믿고 IAEA만 믿는다는 건데 이게 말이 되느냐”고 거듭 반발했다.


그는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한 윤석열 대통령의 노력을 평가한다”면서도 “위안부, 강제징용 당사자들을 만나 설득하고 위로하는 시간을 가져야 했고 독도 문제 등에 대해서도 좀 더 당당한 주장이 필요했다”고 아쉬움을 드러냈다.


그러면서 “국가 원로회의 자격으로 ‘기시다 일본 총리는 방한에 앞서 반성하는 모습을 보이고 오라’는 내용의 성명서를 내야 할지에 대해 헌정회 간부 회의에서 논의해 보겠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안미경중(안보는 미국ㆍ경제는 중국)’을 강조하면서 “지금처럼 미국 일변도로 나가다가는 자칫 중국을 놓칠 수 있다”며 “대만이나 우크라이나 문제는 미국이 시키니까 하는 짓이지만, 우리는 적당히 가만히 있으면 된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중국을 완전히 버리려고 하는데 중국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