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의 적! 말벌. 이렇게 피하세요!

시민일보 / siminilbo@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2-08-18 13:37:31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전남 여수소방서 돌산119안전센터 정유남
 
장마가 끝나고 무더위가 시작되니 벌 쏘임 신고가 급증하고 있다.

8월에서 9월은 벌의 산란기이기 때문에 벌의 개체수가 많아지며, 활동이 왕성해지기에 야외활동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야외활동 시 벌을 자극하지 않는 방법은 향수, 스프레이, 화장 등 강한 냄새를 유발하는 물질은 피하고, 밝은 옷(노랑색, 흰색)을 피해주는 것이 좋다.

다가오는 추석을 위해 벌초작업이나 산행을 하게 될 대는 긴 막대기 등을 이용해 사전에 벌집을 확인하고 피하는 것이 좋고, 산에서 향이 많이나는 음식물을 주변에 방치하지 않는 것이 좋다.

혹여 야외활동 시 벌떼의 공격을 받게 됐을 때는 소리를 지르거나 들고있는 물건을 흔드는 등 벌을 더 자극하는 행위는 자제하고, 현장에서 20~30m를 신속히 떨어져서 주변보다 낮고 그늘진 곳에서 자세를 낮춰 벌들이 목표물을 찾지 못하도록 유도하는게 좋다.

벌에 쏘였을 때에는 피셋 같은 뾰족한 것 보다는 신용카드 등 넓적한 것으로 피부를 밀어 빼는 것이 좋으며, 쏘인 부위에 얼음찜질을 하고, 스테로이드 연고를 바른 뒤 안정을 취해야 한다.

벌에 쏘이면 일반적으로 쏘인 주변이 붓고 통증이 나타난다.

때에 따라 메스껍고 울렁거림이나 구토, 설사, 어지럼증, 전신 두드러기 등의 반응이 나타날 수 있고, 아나필락시스 쇼크(면역반응의 원인으로 발생)가 올 수 있다.

이때는 몸을 편안하게 누이고 호흡을 편하게 해준 뒤 119에 신고해야 한다.

‘시간이 지나면 괜찮겠지’라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전신에 독성이 퍼져 붓고 답답하고 혈압이 떨어진다. 호흡이 힘들어지며 심한 경우 사망까지 이를 수 있다.

올해는 무더위가 오래 지속되는 만큼 벌들의 활동도 왕성하리라 예상된다. 각종 다양한 야외활동 시 위 방법들을 활용해 즐겁고 안전한 여름을 나길 바란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