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광온 “폐해 있지만 폐지는 아직... 근본적 해법 아냐"
[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더불어민주당 ‘투톱’인 이재명 대표와 박광온 원내대표가 '2021년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 해법 중 하나로 부상한 '대의원제 개편 방향을 놓고 기싸움을 벌이는 양상이다.
현재 논의되는 대의원제 개편 방향은 전당대회 때 대의원 표 비중을 30%에서 20%로 줄이고, 대신 권리당원 표 비중을 40%에서 50%로 올리자는 것으로 그동안 대의원 1표가 권리당원 60표로 계산되는 방식은 표의 등가성 측면에서 '당원 민주주의'에 맞지 않다는 지적을 반영한 결과다.
이런 가운데 이 대표는 대의원제 개편을 통한 당 쇄신책을 주문하고 있고 박 원내대표는 근본적인 해법이 안된다는 이유로 완강하게 이를 반대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 이 대표를 비롯한 친명계 다수 의원들은 이 같은 '대의원제 개편 및 폐지' 방안에 힘을 싣고 있다.
장경태·문진석 의원 등 친명계 의원들이 주도하는 당 혁신위원회도 대의원제를 대폭 손질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더해 대의원제 폐지 주장도 나오고 있다.
검찰이 지난 2021년 전당대회 당시 금품을 전달받은 주요 대상을 대의원으로 추정하고 있는 만큼, 문제의 소지를 없애야 한다는 논리다.
반면 박 원내대표는 "폐해가 어느 정도 드러났지만, 그 폐해만으로 폐지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며 대의원제 폐지에 제동을 걸었다. 특히 "대의원제는 TK(대구·경북) PK(부산·울산·경남) 지역에 권리당원 수가 적기 때문에 당의 중요한 의사결정 과정에 그 지역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는 있도록 하는 제도"라며 오히려 존속에 힘을 싣는 모습이다.
이에 따라 민주당 내부에서 대의원제 폐지와 존속 문제를 둘러싼 원내 두톱 간 갈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적지않다는 지적이다.
당 관계자는 “당 지도부가 ‘대의원제 폐지 혹은 축소’를 거론하는 것에 대해 전국정당화를 포기하는 것이라는 반론과 함께, 이재명 대표의 지지 기반인 강성 당원의 영향력을 늘리려 한다는 ‘의심’도 적지 않아 향후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한편 대의원제 개편을 포함한 민주당 혁신안은 당 정치혁신위, 전략기획위, 민주연구원이 각각 의견 수렴 중에 있고, 5월 내 결과물이 나올 전망이다.
국회의원, 지역위원장, 당직자, 지역 핵심당원 등으로 구성되는 대의원은 지난해 전당대회 기준으로 1만6282명으로, 120만명에 달하는 권리당원 규모의 1.3% 가량에 불과하다. 특히 송영길 전 대표를 선출한 2021년 전당대회 당시 투표 반영 비율은 ‘대의원 45%, 권리당원 40%’로 오히려 대의원 비중이 권리당원보다 컸다는 지적이다.
무엇보다 문제의 전당대회 때 9400만원의 금품이 전달된 40여명 중 상당수가 대의원 신분이었던 만큼, 금권선거 유혹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는 게 대의원제 폐지론자들의 주장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