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국민의힘 지도부는 제75주년 제주 4·3 추념일인 3일 최고위원회의 시작에 앞서 약 10초 동안 묵념하며 희생자를 추모했다.
다만 북한 외교관 출신인 태영호 최고위원은 "4·3 사건은 남로당의 무장폭동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남로당과 아무런 관계가 없던 수많은 무고한 민간인 희생자를 낸 현대사의 비극"이라며 "지금은 남북 분단, 좌우 이념, 무력 충돌 과정에서 억울한 희생을 당한 분들의 넋을 기리고 명예를 회복시키며 희생자분들과 유가족들의 아픔을 치유해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태 최고위원은 이날 회의에서 "그러려면 역사적 진실을 알아야 한다"면서 이같이 주장했다.
특히 그는 "이승만 전 대통령의 공은 폄훼하고 과만 부각하는 편파적 역사 교과서 문제도 바로 잡아야 한다"며 "지금이라도 역사 교과서를 재검정하고 올바른 역사관을 심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태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를 마친 뒤 "지난 시간에도 수십 번 이야기했고 4월 3일에 일어난 일은 결국 남로당 제주도당의 당 결정에 의해 12개의 경찰서와 관공서에 대한 무장 공격"이라며 "그래서 저는 이 점에 대해서 계속 주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4.3사건과 관련 진상보고서에서 언급한 4.3사건은 범위가 매우 넓다. 1947년 3월 1일부터 1954년까지, 6.25 전쟁 이후까지 거기에서 있었던 대단히 방대한 범위를 포괄하고 있다"며 "4.3 사건에 대한 용어부터가 저는 동의할 수 없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국가 권력에 의해서 또 일부 극우 단체들에 의해서 무고하게 정말 많은 사람이 희생됐다"며 "그분들의 아픔을 치유하고 명예를 회복하고 또 국가적으로 그분들을 위해서 어떤 일을 해야 한다면 이제라도 우리가 그런 일들을 찾아내서 여야가 힘을 합쳐서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제주도민에게 사과할 일은 없느냐'는 질문에는 "사과해야 한다면 무엇을 사과해야 하는지를 먼저 규명해야 한다"며 "무턱대고 사과한다는 것보다 사과하려면 왜 사과해야 하는지, 어떤 점에 대해서 사과해야 할지 이 점을 명백하게 해야 한다"라며 "이게 제 소신"이라고 강조했다.
김기현 대표는 회의를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 이승만 대통령 공을 평가해야 한다는 태 최고위원 발언에 대해 "4·3 사건과 직접 관계가 있다기보다 전체적으로 이승만 대통령에 대한 정당한 평가가 그동안 매우 미흡했단 인식이 있다는 말씀"이라며 "저는 그 인식에 상당 부분 공감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승만 대통령이 없었다면 자유민주주의 체제는 대한민국 땅에 어쩌면 수립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시장경제 정착을 통해서 대한민국이 잘 살 수 있도록 만든 근본 체제는 이승만 초대 대통령으로부터 시작됐다"며 "그분은 항일운동 최일선에서 앞장섰던 분이다. 이런 부분이 제대로 평가되지 않고 있는 건 정당한 평가를 해야 한다는 게 저의 소신"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태 최고위원은 지난 2월 '제주 4·3 사건이 북한 김일성의 지시로 촉발됐다'는 취지의 발언을 해 희생자 유족회로부터 반발을 산 바 있다. 이에 더불어민주당은 태 최고위원에 대한 징계안을 국회 윤리위원회에 제출한 상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