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민 “金, 억울하다? 국민하고 싸우자는 것...국민은 바보 아니다”
고민정 “소액이라 기억 못 해? 기억안날 정도로 코인 거래 많이 했나?”
이용우 “의총 대다수, 윤리위 제소 주장했는데 협의 과정서 빠졌다”
[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코인 거래 의혹의 당사자인 김남국 의원을 향한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의 질타가 16일에도 쏟아져 나왔다.
김종민 민주당 의원은 이날 오전 BBS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지금 이미 인터넷에서 많은 사람이 (김남국 의원의 계좌 등에서) 얼마의 내역이 이체가 되고 이런 것을 밝혀내고 있다. 어떻게 막을 수가 없다”라며 “김 의원이 정말 잘못 대응하고 있다. 지금 ‘내가 잘했다, 억울하다, 별거 아니다’ 이렇게 얘기하는 건 정말 국민하고 싸우자는 거다. 국민이 바보가 아니지 않느냐”고 비판했다.
그는 “그런데 이걸 그냥 두루뭉술하게 ‘몇천 원밖에 안 된다’ 이렇게 넘어간다면 이건 국민이 가만히 안 있을 거라고 본다”며 “누구라도 잘못을 했으면 뭔가 당황하고 뭔가 이게 잘못이 아니라고 변명을 하고 싶을 것이다. 사실 어떻게 보면 인간이 불완전한 존재니까 누구라도 그렇게 할 수 있다. 그런데 그렇게 잠깐 하다가 그만둬야 그게 인간의 도리”라고 꼬집었다.
이어 “국민이 다 지켜보고 있는데. 그리고 금방 확인이 될 사실인데 변명하듯이 얘기하면 그게 오히려 더 문제가 될 수가 있다. 로비나 뇌물은 사실이 아닐 수 있지만, 국회의원 신분으로 영리 목적으로 거의 전업적으로 코인 거래를 한 것은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다”며 “기본적으로 국민에 대한 배신이다. 이 문제에 대해서 열 번이고 스무 번이고 백 번이고 국민에게 사과하고 사죄하고 반성해야 하는데, 법적으로 문제없다는 주장만 계속하고 있다”고 질책했다.
또 그는 “개인 김남국은 돈 버는 게 뭐가 죄냐고 주장할 수 있지만, 국회의원 김남국은 그게 안 된다. 정치인은 기본적으로 영리 목적의 겸직을 금지하고 있다”며 “여기에서 일탈한 것이다. 그런데 나는 문제가 없고 그냥 몇천 원밖에 안 했다 이런 얘기를 하면 할수록 더 문제가 가중이 된다”고 강조했다.
같은 당 고민정 의원도 이날 유튜브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에 출연, 김 의원이 “너무 소액이어서 정확히 기억하지 못한다”고 발언한 것을 두고 “그 말을 듣고 사람들은 어떤 생각이 드느냐 하면 ‘기억이 안 날 정도로 그렇게 많이 했나?’ 하는 생각을 하게 한다”라고 꼬집었다.
앞서 김 의원은 전날 유튜브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에 출연해 “상임위 시간 내냐, 시간 외냐를 떠나서 제가 너무 잘못했다”라면서도, ‘상임위 중 얼마나 거래했느냐’는 질문에는 “액수는 크지 않은 것으로 안다. 너무 소액이어서 정확히 기억을 못 한다. 몇천 원 수준일 것”이라고 답했다.
김 의원이 윤 정부의 실정을 덮으려고 코인 이슈를 검찰이 고의로 흘렸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서도 고 최고위원은 “적절치 않다”라며 “이것이 검찰의 과도한 흘리기, 표적 수사인지에 대한 판단은 국민이 하셔야 할 영역이지 당사자가 직접 ‘이것은 이것이다’라고 규정하는 것이 과연 맞을까 싶다”라고 지적했다.
이용우 민주당 의원도 "이 문제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국민 눈높이에 맞춰서 대응하지 않는다면 우리 당의 생존위기까지도 갈 수 있는 그런 사안"이라고 가세했다.
이 의원은 이날 오전 SBS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상임위 중에 거래한 적이 있느냐고 확인했을 때 '한 적이 있다. 그러나 아마 질의가 끝나고 소회의실이나 화장실에 나와서 했다'고 했을 때 저거는 굉장히 심각한 문제다 확인을 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전날 유튜브 방송에 나간 것을 봤을 때 그 방송은 본인의 주장과 진술을 위한 것이었다. 저희하고 연락을 하지 않은 채 그랬다는 것은 도덕 문제가 있다고 보인다"고 비판했다.
쇄신 의총에서 국회 윤리위원회 제소 부분이 빠진 것에 대해 "의원총회 과정속에서는 대다수의 목소리가 윤리위에 제소해야 한다. 특히 윤리위원장으로 내정된 변재일 의원 같은 경우가 가장 강하게 '이건 해야 한다'라고 했던 사람들"이라면서도 "말을 하지 않은 사람 중에는 탈당한 상태 속에서 이미 여당에서 제소했는데 (우리도) 할 필요가 있느냐. 이런 이견들이 좀 있었던 것 같다. 초안에는 들어가 있었지만, 나중에 협의 과정에 빠졌기 때문에 여러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 것 같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