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이대우 기자] 검찰이 지난 9월말 시작한 대장동 개발 로비·특혜 의혹 수사가 '50억 클럽' 실체를 밝혀내지 못한 채 해를 넘길것으로 보인다.
26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전담수사팀(팀장 김태훈 4차장검사)은 석 달 가까운 수사 기간에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 씨, 천화동인4호 소유주 남욱 변호사(이상 구속기소), 천화동인5호 정영학 회계사, 정민용 전 성남도개공 전략사업실장 등 총 5명을 재판에 넘겼다.
이들은 서로 공모해 화천대유·천화동인 1∼7호 등 민간업자들에게 수천억원대 이익이 돌아가게끔 사업 구조를 짜고, 공사 측에 그만큼의 손해를 가한 혐의 등을 받는다.
하지만 대장동 개발업자들의 로비 대상으로 언급된 ‘50억 클럽’ 의혹 규명은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검찰은 지난 10월 성남시청 압수수색 이후 대장동 사업에 관여한 성남시 전·현직 공무원들을 참고인으로 꾸준히 불러 조사중에 있으나, 대부분 실무진에 불과해 현재까지 의혹 규명에 필요한 유의미한 진술은 나오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재명 당시 성남시장의 최측근이자 대장동 관련 내부 문건에 결재·서명한 정진상 정책실장도 이달 불러 조사할 계획이었으나, 유한기 전 공사 개발사업본부장이 지난 10일 구속 전 피의자 심문을 앞두고 극단적 선택을 함에 따라 정 전 실장은 검찰 소환 요구에 응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유 전 본부장에 이어 대장동 사업 주무를 맡았던 김문기 개발1처장도 지난 21일 숨진 채 발견돼 수사팀은 당혹스러운 기색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김 처장은 유동규 전 본부장의 측근으로 알려져 초과이익 환수 조항이 삭제된 경위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는 인물이 아닐까 추정돼 왔다.
이와 함께 ‘50억 클럽’ 의혹 수사도 제자리걸음 상태다.
검찰은 지난달 말 화천대유에 근무한 아들을 통해 퇴직금 등 명목으로 25억원 가량을 챙긴 혐의로 국민의힘 곽상도 전 의원에 대해 구속 영장을 청구했다. 그러나 법원은 “범죄 성립 여부에 대한 다툼의 여지가 있다”며 검찰 청구를 기각했다.
검찰은 보완 수사를 거쳐 곽 전 의원에 대한 구속 영장을 재청구한다는 계획이지만, 한 달이 지나도 곽 전 의원을 재소환하지도 않는 등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