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비상계획 발동할 수준 아니다"··· "확진자 규모, 위기 시나리오 못미쳐"

홍덕표 / hongdp@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1-11-16 14:44:31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수도권 중환자 지역별 이송··· 준중환자·중환자실도 확충" [시민일보 = 홍덕표 기자] 최근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연일 2000명대를 기록하고 위중증 환자 수도 500명에 근접하고 있는 가운데, 방역당국이 이와 관련해 '단계적 일상회복'을 중단하고 비상계획을 발동할 수준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16일 온라인 브리핑에서 "현재 단계에서는 아직 의료체계 여력이 있어 (이달 시작된) 단계적 일상회복을 중단하고 비상계획을 발표할 상황까지로 보고 있진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부는 현재 국내 유행 상황은 유럽 등 해외의 대유행 상황처럼 심각한 수준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손 반장은 "유럽 등 외국에선 일상회복 이후 대규모 유행까지 촉발된 상황이지만, 우리나라는 대규모 유행으로 평가할 정도로 커지진 않았다"며 "극단적인 조치를 강구할 정도로 위험한 상황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유럽에서는 잠시 주춤했던 코로나19 확산세가 다시 거세지고 있는 상황이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주간 역학조사에 따르면 지난 1∼7일 보고된 전 세계 신규 확진자 310만여명 중 63%가 유럽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확진자 규모 자체가 폭발적으로 커진 해외 사례와 달리, 국내에서는 60세 이상 고령층과 특정시설에서 감염이 늘어 위중증 환자 수가 증가한 것이 가장 큰 차이라고 방역당국은 설명했다.

손 반장은 "국내 확진자 규모는 위기 시나리오에 있던 5000∼7000명 규모가 아니라 2000명 초·중반대로 전개되고 있고, 다만 60세 이상의 확진자가 증가하면서 위중증 환자가 증가했다"고 말했다.

이어 "한 달 전에는 60세 이상 확진자가 전체의 17∼18%였는데 지난주에는 35∼36% 정도로 증가했다"며 "현재는 추가접종을 신속히 진행하고, 요양병원 면회 제한, 종사자 방역 관리 강화 등을 통해 위중증 환자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는 단계"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손 반장은 "수도권의 경우 중환자실 가동률이 올라가고 있으나 지역별 이송이 가능하며, 준중환자-중환자실도 확충 작업을 하고 있다"며 "대규모 유행이 촉발되고 있다기보다는 고령층과 특정시설 중심으로 한 위중증 환자가 증가하고 있어 비상계획을 당장 발동할 상황은 아니라고 본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홍덕표 홍덕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